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 논어 속 네 글자의 힘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생각이 녹아있는 논어.

논어에서 기억남는 구절이라면 논어의 제1편 학이편에 나오는 글 

논어 - 학이편(學而篇) 1장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溫이면 不亦君子乎."


이 문장에서 배움의 의미가 무었인지으기고 배움의 중요성이 무엇인지 이야기 하고 있으며 우리는 오랜세월 공자의 이 기본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살아왔다.그리고 논어의 사상이 깃들어 있는 유교 사상은 대한민국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였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공자의 이상과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갖추어야 할 바른 자세를 익히는것이 아닌 대한민국 사회에 유교의 형식만 따라왔으며 ,유교가 가지는 그 폐단은 지금까지 이어지게 된다.특히 대한민국의 가부장적인 세대 구조는  결국 세대간의 단절과 갈등을 야기 시키며 현대인에게 있어서 유교는 필요악,좋지 않은 사상이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이 책은 그러한 우리의 생각을 바로 잡아주는 책이라 할 수 있으며 공자의 사상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공자의 사상을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하여야 하는지 알 수 가 있다..


얼마전 읽었던 <집 잃은 개를 찾아서>... 

여기서 말하는 집 잃은 개는 바로 공자라고 할 수 있으며 공자 스스로 15년간 떠돌이 생활을 하였던 공자의 모습이 바로 집잃은 개와 같은 모습이었기 때문이었다..물론 이 책에서도 <집 잃은 개를 찾아서> 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으며 공자의 처지가 상갓집 개로 바뀌어져 쓰이게 된다..물론 공자의 사상을 비판할때 쓰여질 때 이런 표현을 쓰고 있다..


왜 우리는 공자의 사상을 배우고 익히려고 하는 걸까..공자의 사상의 의미는 현재 퇴색되어 가면서 제도안에 깃들어 있는 유교 사상을 하나하나 퇴출시키려 하는 지금 현재 다시 바우려는 이유는 무엇일까..그건 바로 공자의 사상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사상이었기 때문이며,우리 삶을 변화시켜 줄수 있는 사상이기 때문이었다..


책에는 공자와 공자의 제자들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 하고 있었다..우리는 공자의 사상과 공자 그 한사람만 바라 보지만 공자의 사상이 만들어 질 수 있었던 그 바탕에는 공자의 제자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저 컴컴한 밤에 달이 밝게 비출 수 있었던 것.. 지금 현재 공자의 사상이 만들어지고 지켜질 수 있었던 건 제자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공자 스스로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 오랜 세월을 견딜 수 있었던 그 이유 또한 공자를 따르는 제자들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