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5 - 제2부 민족혼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권력은 권력을 탐하고 또 다른 권력은 다시 권력을 얻으려 한다..권력과 권력은 서로가 서로를 잡아 먹으려 하는 아이러니한 현상황..그것이 조선을 탐하려는 일본인과 그들과 함께 하는 친일 조선인들의 물고 물리는 이야기가 바로 조정래의 아리랑에 담겨져 있다..


죽산면에 시행되었던 토지조사사업은 거의 마무리가 되고 갈 곳 없어져 버린 농민들은 새로운 일과 터전을 찾아 나서게 된다..특히 농민들 중에서 힘이 센 이는 조선에서 나오는 쌀을 일본으로 실어나르는 일을 도맡아 하거나...자신의 땅을 잃어버리고 일본인의 땅으로 바뀌어 버리면서 일본인들의 소작농이 되기도 한다..,


소설속에 등장하는 친일 조선인 장덕풍과 백종두..특히 백종두는 자신의 아들이 저질러 놓은 일들을 수습하기 바쁘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아들이 저지른 수국이 유린 사건은 백종두가 하는 일에 못마땅했던 하시모토는 그 사건을 쓰지무라에게 통보하고 결국 백종두는 면장 자리에서 쫒겨나게 된다..물론 그동안 백종두의 승승장구에 배알이 꼬였던 장덕풍을 백종두의 면장자리에서 쫒겨난 소식을 듣고 좋아하게 된다..


일본의 조선 점령으로 인하여 세상은 점차 바뀌게 된다..그리고 호시탐탐 송수익을 잡으려 했던 일본헌병은 번번히 송수익의 행방을 놓치게 되고 송수익은 중국땅 저멀리 만주에서 살아가게 된다.,그리고 그곳에서 힘을 기르면서 지삼출과 함께 다시 조선으로 들어올 날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만주에서의 독립운동..처음 그곳의 터줏대감은 조선인들이 계속 만주로 이주하는 것에 반가워하지 않았다..그 이유는 조선인들이 자신의 땅을 차지 할까 하는 의심스러웠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조선인들이 선택한 땅은 만주인이 차지하고 있는 질좋은 밭이 아닌 버려둔 거나 마찬가지라 할 수 있는 질퍽질퍽한 황무지였다..고선인들이 그렇게 황무지에 물을 대고 밭이 아닌 논으로 일구면서 그 땅의 원주인이었던 만주 부자농으로 부터 땅에 대한 댓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으름장은 듣게 된다.조선인들은 그들의 요구조건에 반대 할 수 없는 입장이라는 걸 알 수 있으며..그들이 조선인들이 만주에 이주해 오는 것을 반기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여전히 조선에 못 돌아오고 있는 방영근과 남용식..그들은 여전히 미국땅에서 일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이승만 박사가 국민회를 조직하여 모금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그리고 남용식과 결혼하였던 말녀는 선미로 이름을 바꾸면서 그들이 하는 일을 돕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그것이 남편 남용석과 갈등의 씨앗이 된다는 걸 알 수 있다..


소설은 이렇게 조선이 가지고 있던 권력이 일본인으로 넘어가면서 정착되어 가는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그리고 그 권력에 기생하는 친일 조선인의 이야기와 그 권력을 다시 되찾으려고 참으면서 인내하는 조선인들의 서로 얽히고 얽히는 이야기가 함께 담겨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