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베이터 메소드 - 혁신기업을 만드는 새로운 툴과 시각
네이선 퍼.제프 다이어 지음, 송영학.장미자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이야기 하는 혁신 경영..그러나 실제 경영을 하면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패로 인한 부담감과 모험과 실험보다는 안전을 추구하는 사람의 심리, 기존의 성공적이며 안전한 경영 기법을 우선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러한 안정적인 경영 혁신은 건축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보다 모양은 별로 없지만 튼튼하고 안전함을 중시하는 건축을 추구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너베이션 메소드의 제목 그 자체에서 보듯히 기업의 CEO가 경영 혁신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으며 경영 혁신을 하는데 있어서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이야기 하고 있다.여기에는 우리의 근본적인 마음 심리도 함께 포함이 된다.


혁신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혁신을 통해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이다..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만 가진다면 그 누구나 모험과 실험을 할 것이며 혁신을 추구하려 할 것이다..그러나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흥미를 느끼기도 하지만 새로운 것에 대해 무관심을 가지거나 주저하게 된다면 부메랑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으며 외면하게 된다..


책에는 불확실성에 대해서 어떠한 것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자신이 생각하였던 혁신 방법이 어떤 제품을 쓰고자 하는 수요 예측에서 예상한 것에 미치지 못할 떄 큰 손실을 입고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그래서 다양한 경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수요를 예측하려고 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번번히 실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요의 불확성 이외에 기술적인 불확실성이 있다..어떤 기술이 기존에 있는 기술보다 훨씬 뛰어 나지만 사람들이 그 제품에 대해서 의심을 하고 선택하지 않는다면 그 제품 또한 외면 받게 된다.지금 현재 쓰여지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이 디지털 카메라를 처음 개발한 회사는 코닥이었다..그러나 처음 개발되었던 디지털 카메라가 지금 현재 필름 카메라를 밀어내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으며 그 근본적인 이유는 코닥이라는 회사의 사업 방침과 경영 자체의 문제와 함께 수요예측 실패가 있었다..


코닥이 혁신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혁신을 하지 않았던 것은 코닥의 기존 사업이라 할 수 있는 필름이 있었다...필름 하나로 많은 돈을 벌수 있었던 코닥은 성공에 안주한 채 세상의 변화에 둔감하였으며 자신의 혁신적인 기술을 제대로 써먹지 못한채 파산하고 만다...그러나 코닥과 함께 쌍두마차였던 후지필름은 필름 사업에만 올인하지 않았으며 다양한 기술 혁신을 통해서 지금까지 승승장구 하게 된다..


혁신이라는 것이 가지는 불확실성...구글은 혁신 그 자체를 기업의 모토로 한다는 걸 알 수 있다..타 기업체들이 혁신에 주저하는 사이 구글은 혁신을 장려하고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 있다.그들 스스로 혁신으로 인하여 생기는 실패에 대한 출혈을 감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혁신 제품으로 인하여 생길수 있는 실패는 혁신이 채워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처음 혁신이라 생각하였던 구글글래스가 사회에서 여러가지 제약으로 인하여 실패를 하고 있지만 그 기술이 언젠가는 다시 부각될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구글은 또다른 혁신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