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닮은 사람
히라카와 가쓰미 지음, 박영준.송수영 옮김 / 이아소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죽음과 가까이 한다는 걸 알게 되면 무언가 유쾌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된다..태어나면서 자신만 알고 나만 편하면 다 괜찮다고 이기적인 삶을 살아온 우리들의 인생...그러나 어느 순간 가까운 이들이 갑자기 떠나게 되면 아픔을 느끼거나 때로는 홀가분함을 느끼기도 한다..


죽음..이 단어에 대해서 할 말이 많다.살아생전 옆지기의 고마움을 못 느끼고 살아가는 남편들은 옆지기가 먼저 세상을 떠나게 되면 후회를 하고 자책을 하게 된다..그 후회를 그 누군가에게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은 또다른 고통이라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돈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걸 그제서야 느끼게 된다...가정에 소홀하고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한 많은 행동들,자신의 그러한 모습들을 소중한 사람이 세상을 떠나게 되면 그제서야 무엇이 더 소중한지를 깨닫게 된다..


책에 담겨진 이야기는 세상을 떠난 어머니,그리고 남아있는 아버지와 아들의 어색한 삶을 그려내고 있으며 아들은 아버지의 병간호를 통해서 죽음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그리고 그 죽음이 나에게 다가올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이가 들어가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지 못할 때 그제서야 느끼는 것은 바로 창피함일 것이다...몸은 점점 어린 시절로 돌아가는데 생각은 여전히 어른의 모습을 간직한 채 살아가면서 창피함이라는 그 단어로 인한 불편함 속에서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우리들의 생리현상..노인들에게 변비 현상이 많은 그 이유는 창피함을 감추려 하는 이유일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노인들에게 우울증에 생기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자신의 주변 사람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남으로서 그들에 대한 추억은 혼자 간직하여야 한다는 슬픔..그러한 슬픔 속에서 자신도 죽음에 대해서 얼마 남지 않았다는 걸 삶 속에서 깨닫게 되고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여기에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을 하나둘 못하게 되면 우울증이 생기게 되고 치매가 오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이처럼 우리가 놓치고 살아가는 여러 이야기들이 책에 그대로 담겨져 있다..죽음에 대해서 스스로 느끼는 것...그것이 이 책에서 이야기 하고 자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