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의 첫 번째 태양, 스페인 - 처음 만나는 스페인의 역사와 전설
서희석.호세 안토니오 팔마 지음 / 을유문화사 / 2015년 9월
평점 :
대한민국과 똑같은
반도국가이면서 다양한 이민족의 침입을 받아야 했던 스페인.. 스페인의 역사에 대해서 알려면 우선 고대 로마이야기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스페인이라는 나라는 스페인이 아닌 이베리아 반도로 불리었으며 그들은 이베리아인이 더 친숙하다는 걸
알 수 있다.여기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보다는 역사속에서 스페인의 수도는 세비야가 더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책의 첫장을 펼치면서
느끼는 익숙함..나 스스로 스페인의 역사를 별도로 공부하지 않았음에도 책 내용에 대해 익숙하였던 것은 바로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오래전에 읽었기 때문이었다..로마인 이야기 속에서 이베리아인이 스페인 사람이라는 것을 이제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으며 스페인을 알려면 로마의 역사를 알아야 하고 이슬람 문화과 가톨릭 문화에 대해서 함께 알아야 스페인을 이해할 수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알고 있었던
스페인의 역사는 바로 콜롬버스가 신대륙을 개척한 이후의 역사였다는 걸 알 수 있었다..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으로 인하여 유럽
국가들은 자신들이 안고 있었던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특히 스페인이 안고 있었던 지정학적인 위치..지금의
이라크에 위치하고 있었던 지금의 미국에 버금가는 힘을 가지고 잇었던 아시리아로 인하여 육지로 땅을 넓힐 수 없었던 스페인은 자신의
욕망을 서아시아가 아닌 남아메리카로 눈을 돌리게 된다..그리하여 거의 무임승차나 다름 없었던 나아메리카 지역의 개척..스페인의
흔적은 남미 여러 국가들이 현재 쓰고 있는 언어들을 통해서 우리는 알수 가 있다..브라질과 쿠바 그리고 아르헨티나와 같은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 남미 국가 대부분이 쓰고 있는 스페인어..지금 현재 스페인을 포함, 4억 5천만 인구가 스페인어를 쓰고 있는
이유가 바로 스페인의 식민지 개척 때문일 것이다..
스
페인의 역사는 바로 전쟁의 역사라는 걸 알 수 있었다..특히 이슬람 제국 밑에 있었던 스페인과 카톨릭 왕국 밑에 있었던
스페인...서로 다른 문명의 틈바구니에서 물고 물리는 전쟁을 겪어야 했던 스페인은 자신들만이 가지고 있는 독튿함 삶과 문화를
가지게 된다..특히 스페인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건축양식은 전세계 건축인을 불러 들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스페인만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그 다양함으로 인하여 그들은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한편 스페인의 경제 위기를 그들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는 그 이유도 이해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