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의 대담한 경제 - 대한민국 네티즌이 열광한 KBS 화제의 칼럼!
박종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경제는 IMF이후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집안의가계가 은행 이자에 의존하였던 기존의 안정적인 투자에서 벗어나 부동산이나 주식과채권과 같은 불안정한 투자로 바뀌면서 점차 일본을 장기불황을 따라가고 있는 추세이다..정부스스로그러한 우리들의 모습을 알기에 경기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들을 내세우지만 그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있다..책에는 이처럼 정부의 경기 부양책의 문제점과 다양한 정책들에 대해서 하나 둘 반박을 하면서 그 대안이 무엇인지 이야기 하고 있다..

2000 년이 지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점차 떨어지고있다.그 원인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우리가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며 경제 성장에 발목을 잡는 가장 큰 핵심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머리는 선진국을 지향하지만 다리는 여전히 과거의 후진국형 경제 성장,즉 수출 주도형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과거의 습관을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 경제 성장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말 하는 과거의 습관이란 바로 우리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습관들이다..우리의기업들은 스스로 혁신을 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닌 다른 이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모방하는 행위를 그동안 잘 해 왔다...남들이 다 만들어 놓은 제품에 숟가락을 올리는 우리의 과학기술.우리가 중진국일 때는 그런 것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지만 우리가 선진국과 중진국의 경계선에 있는 현재 그러한 행동은 경제 성장으로 이끌어 나갈 수가 없으며 혁신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만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편 온실 속의 홫토처럼 자란 우리의 기업들이 그러한 혁신을 주도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생각해 본다면 냉정하게 말해서 쉽지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정 부가 말하느 일본의장기 불황에대해서우리는 결코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그러나 그 실속을 보면 우리 경제가 장기 불황에 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으며 정부의 부양책과 금리 인상 억제책이 바로 그 증거라고 할 수 있다..1989년 일본이 금리 인상을 단행함으로서 장기불황이 시작되었다고 우리 스스로생각하고 있으며 정부 스스로 금리 인상을 억제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우리 경제가 또다른 형태로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 일본과 똑같이 장기 불황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국민들의 빚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과 부동산자산이 물가상승률보다 더 높게 상승하고 있다는 것,그럼으로서 내집마련은 점차 힘들어지고 가계소비 위축은 가속도가 붙고 있는 것이 우리들 사회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