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마을 인문여행 - 미술, 마을을 꽃피우다 공공미술 산책 2
임종업 지음, 박홍순 사진 / 소동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길을 가다가 미술작품을 보게되면 눈길이 가게 되고 걸음을 멈추게 된다..특히 하나의 건물 벽면에 그려진 커다란 미술 작품..그 안에 담겨진 의미에 대해서 생각할 때가 종종 있었다.그리고 잊혀져 있었던 추억이나 기억들을 함께 떠올리게 된다.

책 에 담겨진 열개의 프로젝트 하나하나 넘기면서 그안에 담겨진 의미 뿐 아니라 프로젝트에 담겨진 스토리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골목 골목 하나의 명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미술작품을 보기 위해서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미술작품이란 이렇게 사람의 숨겨진 기억들을 하나하나 끄집어 내기도 하고 생각할 꺼리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부 산 감천마을에 진행되었던 미술 프로젝트.그곳에서 이웃간의 정이 무엇인지 나눔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그리고 요즘 묻지마 범죄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주위 사람들에 대한 무관심과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고 도구나 수단으로 생각하기에 그런일이 생긴다는 것을 문득 느끼게 된다.

여기서 왜 갑자기 나눔이라는 이야기를 꺼낸 것은 감천 마을에 뭔가 어색한 벽면 때문이었다..내집에 칠하고 남은 페인트..그 남은 페인트를 버리는 것이 아까워 옆집이 칠하고...또 남는 것은 옆집에 다시 주는 것..무언가 집과 집이 동떨어진 그런 느낌이 아닌 동네가 하나의 집이라는 생각을 느끼게 되었다그리고 이것이 바로 나눔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비록 서로 다른 색깔의 벽면이 교차되어 있지만 집이라는 그 고유의 성격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므로 페인트라는 도구로 이웃과 이웃을 연결하는 것이다.이렇게 미술프로젝트는 작은 달동네를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책에 담겨진 지역 중에서 관심이 갔던 곳은 영월 아트미로었다...예전 영월 동강에 레프팅을 자주 다녀왔으며레프팅을 하면서 물도 자주 먹게 되었던 기억에 남는 곳.주변인들의 기억속에는 영월을 단종 유배지라는 것을 기억하지만 그곳에는 시를 쓰고 풍류를 즐겼던 김삿갓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이런 우리 역사속의 이야기와 미술이 함께 융합이 된다면 역사 이야기에도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되고 하나의 관광지로서 바뀌게 된다.

혼불을 쓴 최명희씨..그분의 작품과 기억이 남아있는 남원...그곳에는 북까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최명희씨의 작품의 책등 표지가 한쪽 벽면으로 채워진 북까페..책도 읽으면서 혼불에 담아있는 우리의 정서를 한번더 느끼게 된다.

책 에 담겨진 미술을 통해서 소외된 하나의 마을을 재탄생 시키는 것..그럼으로서 사람들이 모이고 즐거움을 얻게 된다면 그것 또한 큰 의미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였다.그리고 어릴 적 추억도 느낄 수 있다면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으며 주변에 이러한 미술 작품이 많이 보녔으면 하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