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치료사가 말하는 자폐, ADHD 부모상담서 - 자폐, ADHD에 축복이 되는 치유가이드북
이명은 지음 / 율도국 / 2023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내 아이가 어떤 상황에 어떤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부모는 내 아이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어떤 질병이 있는 건 아닌지 걱정한다.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 평범하게 클 수 있는 아이로 성장하고,바르게 커 나가는 걸 당연하다고 여긴다. 내 아이가 다른 아이와 다른 반응, 예측되지 않은 행동,을 보여줄 때, 왕다가 되어 있거나,혼자 겉도는 모습,이해가 되지 않는 행동을 보면, 부모는 걱정하고,노심초사하며, 내 앞에 놓여진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한다. 또래 친구들에 비해 내 아이가 뒤쳐진다고 생각하면, 원인을 알아내고 ,방법을 찾아 나서고 해결하려고 한다.발달장애,행동장애, 경계성지능장애, 자폐스펙트럼 증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부모와 아니능 함께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다.
내 아이에게 과잉행동자애(ADHD),자폐 소견 증상이 있다면, 당황하지 않고, 내 아이의 상황에 맞게 대처하고,지헤를 모야야 한다. 아이의 증상은 또래 친구들보다 느릴 수 있으며,학교 내에서, 같은 훈련이라 하더라도, 한번 더 반복 훈련이 필요하다.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것, 놀이기구에 올라타는 것, 배변 훈련을 하고, 어떤 상황에서, 아이 스스로 반응을 보여야 할 때와 반응을 보이지 않아야할 때르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즉 과다행동 장애(ADHD)르 가지고 있다면,칭찬과 격려, 보상과 처벌을 통해서, 해도 되는 행동과 하면 안되는 행동을 엄격하게 구별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타인에게서 얻을 수 없는 신뢰와 믿음을 ,부모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아이에게 사회성을 기르고, 스스로 자신감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부모 스스로 당황하지 모습이 먼저다. 자신의 마음을 다스릴 수 있어야 한다. 과잉장애 아이는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게 일반적이다. 청각이 다른 아이들보다 발달하였기 때문에, 똑같은 상황에 똑같은 스트레스에 놓여지면,더 크게 행동으로 반응할 수 있다. 그럴 때 부모의 역할은 허용하는 것과 선긋기를 통해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 급선무다.아이 스스로 정확한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잇도록 이끌어갈 수 있는 육아, 학습 방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