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그루의 나무 - 다시, 지구를 푸르게
프레드 피어스 지음, 마르코 김 옮김 / 노엔북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성숙한 나무를 대량으로 벌목하는 것은 지구의 기후 변화를 방지한다는 명분이 있습니다. 성숙한 나무는 성장을 거의 멈추었기 때문에 대기로부터 많은 탄소를 포집하지 못한다는 주장입니다. 반면에 어린 나무는 자라면서 많은 탄소를 포집합니다. 따라서 오래된 나무를 뽑아내고 새로 심으면 '탄소 순 배출량 제로'라는 국가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론입니다. (-9-)



웅거는 대기 중의 메탄 레벨을 끌어 오리는 효과로 숲이 생성 시킨 너무 많은 VOCs, 구름 형성,이산화탄소 흡수를 통한 식생의 모든 냉각 효과를 상쇄시켜 버린다는 계산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것은 1850년 이래로 일반적인 생각처럼 산림감소가 지구온난화를 가속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실제로 약 1/10 정도 지구를 냉각해 왔다고 말한다. (-53-)



인류는 수 천년 동안 나무를 베어왔다. 끊임없이 증가하는 현대의 위시 리스트 제품들을 위한 목재의 공급 범위는 나무젓가락에서 목재팔레트, 변기 의자에서 종이, 오보에에서 마루판, 데크길에서 과일바구니, 비계에서 정원용 가구에 이른다. 우리는 작물을 기르고 가축을 먹이며 건축물을 세우기 위해서도 산림 개간을 늘려왔다. 지나 2세기 동안 끊임없는 인구증가와 기술력은 그 과정을 가속했다. (-99-)



북미와 러시아는 분명한 손실은 대부분 산불이나 벌채로 인한 잠정적으로 일시적인 것이었다. 아프리카에서도 같은 상황으로 이동경작이 한 위성 영상으로부터 다음 영상에서 사라진 식생의 90% 이상의 원인이었다. (-143-)



40년 전, 아프리카의 사헬 지역은 가뭄, 기아, 그리고 환경적 재앙의 대명사였다.하지만 여전히 건조한 오늘날, 가장 건조한 펴야 중 일부는 나무로 뒤덮여 있다. 사하라 사막의 남부 쪽의 토지 위를 지나는 위성으로 인한 노란 지역보다는 녹색 지역을 더 자주 보여준다. 농민들에 의하면 그 아래의 들판에서는 나무들 사이에서 작물이 더 잘자라고 ,토양이 더 비옥할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인구 증가율이 빠른 지역 중 한 곳 임에도 불구하고 급식이 유지될 수 있다고 한다. (-200-)



3월 22일 발생한 산불이,10여일 동안 경상북도 북부지역을 삼겨 버렸다. 의성과 청송,영양과 안동,영덕까지 화마가 스쳐 지나갔으며, 집과 창고, 관공서를 바람 타고 삼켰다. 건조한 봄 날씨에 ,인간의 실화로 인한 산물이 걷잡을 수 없는 최악의 상황을 만들었다..



책 『1조 그루의 나무』을 통해서, 우리에게 나무의 역할은 무엇이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놓치지 않는다.나무를 인위적으로 심으려는 목적, 산림 녹화사업을 벌이는 것에 대해서, 저 먼 곳,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본다면,우리가 생각하는 임업 정책에 대해서,새로운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야 함을 살펴볼 수 있다.



나무와 불은 상생관계다. 나무가 있어서,불이 발생하고,불이 있어서,나무가 자란다. 대한민국 전역에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그 과정에서, 나무가 살 수 있는 토양이 만들어지고 ,종자가 여기저기 생겨난다. 문제는 인간이 나무를 불법으로 벌채하면서, 그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처리하지 않는다는것이다.이번 대형산불에서,대한민국 전역에 소나무가 심어져 있으며, 인간이 나무를 벌채하는 과정에서,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을 그대로 방치하여서,생기는 문제를 놓치지 않고 있다. 나무나 숲에 대해서 인간이 개입하게 되면,삼림 훼손은 불가피해진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문제를르 해결하기 위해서,나무를 인위적으로 심는 것이 과학적으로 왜 문제인지 살펴보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나무가 생겨나는 것을 우선해야 하며,경제적 이익을 우선하고 있는 지금 상황을 문제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