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줏빛 끝동의 비밀 - 약초꾼 소년, 폐위된 왕후를 만나다 오늘의 청소년 문학 45
지혜진 지음 / 다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빨래를 몇 보따리나 하고 왔는데 집 안 꼴은 이게 뭐야. 동생들은 거두지도 않고."

나는 저절로 몸이 움츠러들었다.

"도대체 너는 하는 일이 뭐니?아휴 답답해. 아비라는 인간은 며칠 째 집에 들어올 생각도 안 하고." (-11-)



아버지는 막수 아저씨가 분수에도 맞지 않는 나랏일을 한다며 대놓고 싫어하는 티를 내곤 했다. 노산군의 복위를 시도했다는 죄로 군부인의 가문은 풍비박산이 났다. 복위가 진정으로 노산군께서 원하신 것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35-)



"네가 나를 마마라고 부르니 내가 아직도 마마인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 하는 말인데, 나는 이제 마마가 아니란다."

군부인도 나와 비슷한 감정을 느끼신 것일까. 나는 어떤 대답도 할 수 없었다. (-80-)



어두운 방 안에서 군부인이 내게 해 주었던 말씀은 두고두고 내 마음속 깊고 어두운 구석을 밝히는 별이 되었다. 그 누구보다 내가 나를 먼저 지키기를 바란 군부인의 진심이었다. 너무 멀어 희미했던 별이 그 누구도 아닌 내 마음을 아프게 또 뜨겁게 찔렀다. 눈물이 뺨을 타고 흘러내렸다. 아직 군부인께 내 잘못에 대해 제대로 용서조차 구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134-)



조선의 6대 임금 단종은 1441년에 태어나 1457년 향년 16세에 사망했다. 그가 살았던 당시 단종은 세조의 왕위 찬탈로 인해, 노산군으로 강등되었으며, 단종 복위 운동을 꾀하다가, 금성대군 주도로 의병조직을 만들어서, 거사를 꾀하다가 사형당하게 되었는데, 순흥 소수서원 앞 죽계천에서, 목에 잘려 죽은 이들의 핏물이 4km 떨어진 영주시 안정면 인근에서 멈추게 된다. 단종복위 운동의 실패로 인해 순흥도호부는 황폐화되었으며, 죽은 이들의 피가 멈춰 있는 그곳을 '피끝의 한'이 서려 있는 마을이라 하여, 피끝마을로 불리게 된다. 물론 단종은 1457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소설이자, 동화책이기도 한 『자줏빛 끝동의 비밀』의 주인공은 단오 이며, 역사적 배경은 단종 복위운동에 관한 역사다. 1457년 당시, 단종이 유배되었던 곳이 영월이었다. 순흥 도호부와 가까운 곳에 있었으나. 단종 복위운동 실패로 인해 순흥도호부는 철저하게 인간이 살지 않은 곳으로 전락되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군부인은 단종의 아내은 정순황후라 할 수 있으며, 군부인과 화상을 입어서, 흉터가 남아있는 단오 와 인연이 되어, 묘한 감정의 교류를 느낄 수 있다.



소설 속에서 '애틋함'이 느껴진다. 군부인은 단오에게 마음이 쓰였다.단오는 두 명의 동생과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단오는 자신의 행위로 인해 군부인에게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단오의 바른 심성을 일찌기 알아챈 군부인은 단오가 삐뚤어지지 않고, 세상을 미워하지 않는 선한 씨앗이 되길 바라고 있었다. 조선시대 풍습으로 인해서, 부모의 잘못으로 평생 흉터를 안고 살아야 하는 단오가, 군부인을 만나서,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군부인의 깊은 가르침을 통해 세상과 화해하고 있었으며,군부인의 마음에 감화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