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사는데 재미가 없는 너에게 - 지친 일상을 성공으로 바꾼 여섯 갈래길 이야기
박미애 지음 / 산솔미디어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넷플릿스 프라이즈는 상금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부장이 1등에게 30만원을 주겠다고 했던 것처럼.

10KM 마라톤은 단번에 올라타서 편하게 이동하는 고속열차가 아니다.

계단을 오르듯 한발 한 발 나아가는 준비가 필요했다. (-17-)



종단 마라톤의 출발시각이 2024년 7월 6일 토요일 아침이었기에, 그 전날인 금용리에 부산에 도착해 마음을 다잡으며 새로운 시작을 조용히 기다렸다.

모든 선수가 태종대 주변의 숙소에 모여들었고, 우리는 함께 대회진행에 관한 대화를 나누며 주요한 시간을 보냈다. (-78-)



1.앞뒤 안 가리고 돌진하는 친구 '저돌녀' -무작정 앞만 보고 돌진하는 추진력의 대명사로, 주위를 사로잡는 친구다.

2.끝까지 해내는 집요한 친구 '끈기녀' - 목표를 세우고 나면 우물쭈물하지 않고 끝까지 달려가는 끈기의 화신으로, 한 가지 목표를 향해 수미일관 파고드는 집착의 친구다.

3.냉철한 이성으로 판단하는 친구'차도녀' -아무리 힘들어도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상황을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냉철한 친구다.

4.한계를 깨부수는 도전가 '한계 도전녀' -한계가 뭐여? 스스로의 한계를 뛰어넘어 더욱더 높이 도전하는 친구다.

5.매일매일 새롭게 태어나는 친구'리셋왕'-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며 ,어떤 역경에 처해도 오뚝이처럼 일어나 또다시 움직이는 친구다. (-211-)



마라톤 온라인 홈페이지에는 2025년 최신 마라톤 대회 일정이 올라온다. 통상적으로 풀코스 위주의 대회 일정이 많이 올라오고 있으며, 울트라 마라톤 대회도 함께 올라간다. 여기서 울트라 마라톤은 서바이벌 울트라 마라톤대회이며, 주로에서 대회측에서, 먹을 것을 제공하지 않고, 참가자가 직접 준비하는 대회를 의미한다. KUMF에서 주관하는 대회이며, 서바이벌 울트라 대회경험과 노하우, 운영까지 도맡아 하고 있다.그중 100KM 이상 초장거리 서바이벌 울트라 대회가 있으며, 200KM,308KM 횡단 ,537KM 종단, 622KM 종단 마라톤 대회가 있다.



작가 박미애씨는 2009년 당시 처음 마라톤 대회에 입문하였으며, 마라톤 주력 16년이 되었다. 이후 , 동아마라톤 대회 풀코스에 참가하였으며, 부천 중앙공원에서, 부천 달리마 소속이자. 78말띠 마라톤 클럽 멤버이기도 하다. 처음 10km 단거리 대회 참가 이후, 풀코스 완주 뿐만 아니라, 100KM 에 도전하여 가볍게 완주할 수 있었다. 그 후 200KM 부산낙동감 울트라 마라톤에 참가하였으며, 완주 후 308KM 횡단 마라톤대회를 신청하였고, 크게 무리하지 않았고,한번에 완주하였다.



책 『열심히 사는데 재미가 없는 너에게』은 저자가 2024년에 부산 태존대에서 출발하여, 파주 임진각에 골인하는 537km 중단 마라톤 대회를 달리고 올린 대회 참가 후기다. 대한민국은 부산태종대에서 출발하여, 파주 임진각까지, 537km가 있고, 전라도 해남 땅끝마을에서 출발하여, 강원도 고성까지 달리는 622km 종단 마라톤 대회가 있다. 537km 종단 울트라 마라톤 대회를 소개하는 첫 에세이였으며, 초장거리 울트라 대회를 준바하는 러너들에게 지식과 경험, 노하우를 속하고 있어서 ,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실제로 종단 마라톤 대회는 참가자가 50명 남짓에 불과하기 때문에,준비물부터 만만치 않고 난감할 때가 있다.매일 매일 필요한 준비물에는 의식주 뿐만 아니라, 날씨,기후와 연관된 준비물이 많다. CP에 제한 시간 안에 도착하지 않으면 실격 처리가 된다. 자동차를 이용하거나, 편법을 쓸 대, 중간에 숙소를 잡아서 ,잠을 자는 것도 실격사유에 해당된다. 물론 이 실격에 대해서는, KUMF 측에서 별도로 알려주긴 하지만, 현실에서 느끼는 것은 큰 차이가 난다. 1박 2일 서바이벌 울트라 대회와 달리 초장거리 울트라 대회는 지도와 키로마다 지나가는 길을 스스로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달리다가,길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고,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해, 저체온 증상으로 포기하는 사례도 있었다.물론 달리다가 교통사고로 인해 참가자가 사망하는 사례도 실제 있었다. 잠이 부족하여, 환시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으며, 저자는 537km 완주 제한시간인 124시간 안에 완주하였으며, 자신의 종단 완주 경험을 오롯히 새겨놓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