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야 겨우// 결혼하는 후배가// 결혼 축시를 써달라는 부탁을 했다//고민에 빠져 하루를 보냈다// (양복도 한 벌 해주고, 돈도 많이 주겠다니 구미는 당기지만.)
결혼생활 파투난 내가 무슨 자격으로//축시를 쓰나//
사정을 아는 사람들이 알면 비웃을텐데// 평생 1회 뿐일 행사에서//
자격 미달인 사람이 축시를 낭송하면//
저주가 되지 않을까//
자격도 문제고 내용은 또 어떻게 //어쩌지 어째야`하나 `하다가 //
아 어쩌지 하나 하다가// 제발 ,너라도 잘 살아라 라고 쓰기로 했다 (-67-)
며칠 전 한국작가회의 사무실에 우연히 들어갔다 왔다.그곳에는 대구경북 지역 시인들의 시집이 수백권 전열되어 있었다. 그 시집은 시인들의 시간과 노력이 투영되어 있었으며, 안도현 시인의 시가 여러 권 있었다.책 『시의 시간들 (2024 겨울 창간호)』에 수록되어 있는 안도현 시가 반가운 이유다.
책 『시의 시간들 (2024 겨울 창간호)』은 시인들의 의리를 엿볼 수 있다. 시인들은 대체적으로 경제적인 여유가 없다. 그리하여,서로 이름이 알려진 시인들이 시인을 서로 챙겨주는 문화가 있다. 안도현 시인과 김주대 시인이 쓴 시가 『시의 시간들 (2024 겨울 창간호)』에 수록된 이유는 그런 과정 속에 있다.특히 김주대 시인은 류근 시인과 서로 주거니 받거니 소통하고,욕도 섞어가면서, 만담을 즐기는 시인이다. 시적인 따뜻함 뿐만 아니라,그림에도 소질이 있다 .김주대 시인은 디테일한 것을 놓치지 않는 시인이다. 유혹 때문에, 결혼 축시를 받아놓고 물릴 수 없는 상황 속에서, 김주대 시인은 자신의 솔직함을 결혼 축시에 반영하고 있었다. 자신의 부끄러움도 사라지고, 결혼축시의 목적도 얻었다. 스스로 망가짐으로서,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
내가 조금 망가져서, 결혼이 행복하다면,그것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잠깐 체면을 내려놓고,자존심도 내려놓으면 된다. 김주대 시인의 시에는 해학이 묻어나 있으며, 자신의 삶을 객관화하며, 남을 위해 스스로 희생할 줄 아는 마음이 따뜻한 시인이다.
삶이란 그런 것이다. 현실을 자각하며 살아야 한다.때로는 타인도 배려할 줄 알고, 상황에 맞게 염치도 알고 살아야 하며, 때때로,자신의 현실에 대해서, 눈치 보며 사는 경우도 잇다. 양복 하나에 결혼축시를 쓰겠다 약속했지만,도저히 현실과 이상사의 어긋나는 것을 용서하기 힘들었다. 그는 스스로 내려놓았기에, 타인의 결혼에 대해서,진심으로 행복을 빌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