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션 3.0, 내일을 위한 어제와의 대화
민은선 지음 / 라온북 / 2025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방직기가 개발된 산업혁명 덕분에 기계를 활용한 직물 제조는 한땀 한땀 손으로 만든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패션을 서민들에게 전파했다. 전기 에너지 기반의 2차 산업혁명은 패션산업을 시스템화된 대량생산 체제로 구축하면서 섬유와 의류 제조 과정이 대대적으로 혁신됐고 이후 저렴한 가격으로 대중에게 제공, 진정한 패션 민주주의로 이어졌다. (-6-)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이 등장하면서 패션 업계는 패션트렌드르 예측하고 분석하는 패러다임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인공지능은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와 같은 소셜미디어와 다양한 쇼핑몰 플랫폼에서 방대한 양의 이미지와 게시물, 베스트셀러 아이템의 컬러와 스타일을 수집 분석해 어떤 스타일이 인기를 얻고 있는지를 파악해준다. (-29-)
독창적 스타일을 추구하는 노바, 아르페지오, 소르젠떼(에스콰이아),바쏘(세계물산),모두스비벤디(신원) 등 브랜드들이 등장하고엠포리오아르마니, 캘빈클라인 등 직수입도 확대된다.(-93-)
제일모직의 역사는 퍽이나 깊고 아련하다. 전후 팍팍하던 시절, 홍코이나 마카오에서 밀수한 복지로 만든 양복이 너무 비싸 국민들이 입을 꿈도 못 꾸던 때,이병철 회장이 "고급 모직물을 국내에서 생산해 싸게 공급하자"라던 게 제일모직의 시작이다. 제일모직 양복지가 생산됐을 때 국산 양복은 국가적 자랑이었다. 영국 신사나 마카오 신사에 못지 않은 대한민국 신사가 출현했기 때문이다. (-119-)
미국의 헤어브랜드 '베러낫 영거(Better not younger)'는 브랜드명에서 드러나듯 나이가 들어가면서 '젊어지려는 게 아니라 더 좋아지는 것'으로 정의한다. 우리가 시니어를 바라보는 개념도 일을 안하고 늙어가는 사람들이 아니라 나이 들어감에 따라 지혜가 쌓이는 사람이라고 바꿔야 하는 시대에 와 있다. (-190-)
패션은 많은 정보가 이미지로 함축돼있고 구매결정에 개인의 취향이 많이 반영되는 소비재다. 패션리테일에서 고개에게 개인화된 상품추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패션상품 자체의 정보가 제대로 설정돼있어야 한다.고객이 제품을 검색하는 과정을 돕고 구매전환율을 옾이기 위해서는 일관되고 체계획적인 상품 속성 분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241-)
1950년대 대한민국 패션시장의 규모는 5000억원에 불과했다. 전쟁이 끝나고, 국토 전체가 폐허가 된 상태에서,미군 물자에 의존해 ,의식주를 겨우 해결한다. 하얀 모시로 옷을 입었고, 추위를 겨우 견디며 살아왔다. 이후 1990년 이 되어서, 패션시장은 5조원을 돌파하였으며, 2020년대엔 50조원의 패션시장 규모를 갖추고 있다.
패션은 타인의 욕망을 욕암하는 산업이다. 타인이 어떤 옷을 입으면,그곳을 사고 싶은 심리가 강하다, 옷이 보온의 기능을 넘어선지 오래되었다. 대한민국의 패션 산업은 동대문시장에서 시작되었으며, 기성복 보급화가 재래시장에 팔리기 시작하였다. 19970년대 유행하였던 브랜드 뱅뱅이 있고, 코오롱스포츠, 인디안,미즈노, 캠브리지멤버스, 소다. 로가디스, 톰보이, 티파니 등의 브랜드가 나타났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일러 복이 탄생된 시기다.
못은 유행을 탄다, 그 시대의 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화장품 시장보다 패션 산업 시장의 더 크다. 그건 패션 시장은 필연적으로 사치와 연관되어 있으며,컨셉과 트렌드에 따라서, 선호하는 브랜드도 바뀌게 된다. 한때,등골 브레이크 패딩이 유행어가 된 적이 있다.아이들의 패딩 유행이 부모들을 힌들게 한다는 말이다.이제 패딩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고급 패딩을 선호하는 패션 흐름이 줄어들고 있다. 인간의 욕망이 자연스럽게 사라진 경우다.경제적인 문제와 패션시장은 서로 비슷한 분포표르 형설하였다.
패션 산업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산업이다. 옷을 만드는데도 환경을 오염시키지만,옷의 대부분을 버리는 과정에서도 환경오염이 발생한다.패션업체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고를 버리느 경우가 관행처럼 굳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과거에 비해 브랜드 선호도가 약해지고 있으며,패션에 대해서, 무신사나 무인양품에서 제작된 옷이나 의류를 선호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패션업계에 환경적인 책임, 사회적인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패션 트렌드가 많이 바뀌었고, 여성오피스룩, 골프웨어, 스키복, 데님 브랜드 등의 옷이 팔리기 시작하였다.그후 캘빈클라인 등 수입 브랜드 가 팔리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