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로 대학 가다 - 세계적 명문대에 진학한 남매와 제자들의 확실한 성공 비결
이미영 지음 / 학지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책 『IB로 대학 가다』은 IB 한국어화 교육이 시행된 것이 2019년 이후라는 걸 확인하고 있다. 2017년 , IB를 한국어화하여, 공립학교에 시범 도입해 보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한 저서 『대한민국의 시험』에 'IB'라는 단얼르 쓸 수 없었다. 저자는 국제학교에서, IB 한국어를 15년동안 가르치고 있으며, 2007년 한국에 떠나 , 싱가포르에 정착한지 17년이 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국제 바칼로레아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이 한국에 정착하기까지 15년간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싱가포르 국제 대학교를 입학하기 위해서.IB교육의 취지 뿐만 아니라. IB교육과 한국 교육의 차이를 서술하고 있다. 두 교육의 차이를 이해할 때, 한국형 리더와 글로벌 리더의 차이와 역량과 수준을 이해할 수 있다.



IB 교육은 자기주도성 교육을 우선한다. 한국의 주입힉 수능+ 내신 교육과 차이가 나며, 아시아 최고의 대학교 싱가포르 대학교의 독특한 교육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한국보다 더 우수한 해외 명문 대학교는 IB교육을 채택하고 있다. 영국에 유학해,의학을 전공한 이들이 한국에서 의사가 되고 싶어도, 한국 특유의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 의과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조건조차 되지 않는 현실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IB교육의 현장 체험 교육,자기주도성 교육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를 나열하고 있다.앞으로 우리는 창의성을 중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별화된 역량을 키우는 리더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저자가 한국 IB한국학회 (KIBERA)회원이며, IB 도입과 확산을 소방하고 있으며, 한국에 IB 관련 법안이 통과되길 원한다.



책에는, 한국 사회와 한국 교육의 문제를 놓치지 않는다. 아시아 금융 허브의 중심지가 싱가포르에 존재하는 이유는 싱가포르의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때문이다. 미래의 글로벌 리더를 키우고 있으며, IB교육을 지행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의 비전이 밝은 도시 국가다. 한국의 교육은 여전히 주입식 교욕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제4차 산업혁명을 코앞에 두고, 그 대안으로 IB교육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저자는 남매를 서울대와 싱가포르 국립대에 진학시킨 유학생 엄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