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을사년 (乙巳年) 해가 시작되었다. 2024년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사이에, 우리는 많은 것을 비우고, 새로운 것을 채워 나간다. 가과와현재 미래가 교차되는 그 시점, 아쉬운 한해를 마무리하고, 욕심을 비우며, 2025년에는 마음먹었던 단하나라도 잘 실천해야겠다고 다짐해본다. 읽는 것에서 벗어나 쓰는 것을 즐기며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2025년의 문을 열었다.



책 『내가 주어인 문장의 힘』 속에는 귀한 문장들이 있었다. 알고 있지만, 잘 지키지 못하고 잇는 것, 우선 순위로 놓지 않는 것이 바로 나라는 존재였다. 내가 주어인 삶에 대해서,거부감을 느끼며 살아왔으며, 너 혹은 제3자를 우선하는 삶을 살았다. 적극적인 확언보다, 수동적인 삶을 먼저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다.



명언 하나 하나 써내려가면서, 나 스스로 어른이 되는 기분이 들었다. 눈으로 문장을 읽는 것은 빠르게 소화되지만, 꼭꼭 씹어 삼키지 못하고, 기억하고,소화시키는 시간이 짧다. 필사한다는 것, 쓴다는 것은 느리지만, 한 단어 한단어에 생각하고, 나를 돌아보면서, 스스로를 돌아보게 한다,. 필사의 힘은 매우 강하며, 구체적인 인생을 선물해주고 있다.



책 속에는 나를 돌아보게 하는 힘이 있다. 특히 2025년에 내가 지켜야 하는 명언,확언이 있었다. 나의 과거를 놓아줄 용기가 부족하였으며, 타인에게 관대하지 못했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면, 두려움의 공포를 느끼며, 한 곳에 고여 있는 나 자신을 보고 말았다. 나를 믿고, 세상이 만든 한계를 스스로 끊어버라는 것, 경쟁자를 과대평가하고, 나를 과소 평가하는 습관을 끊어야 한다는 사실을 이 책에서 얻었다. 현재의 나자신을 바꾸기 위해서, 성숙한 어른이 되기 위해서, 나에게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문장 필사를 통해서, 알게 된다. 평판을 잃지 않기 위해서, 사람에게 관대하며,절제하고, 인내하며,주어진 일읊 미루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