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일을 지속하는 힘, 브랜딩
원민 지음 / 하나의책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특히 2차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브랜드와 마케팅은 폭발적으로 성장합니다. 산업화와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니 시장에는 수많은 상품이 쏟아져 나왔고,기업들은 제품 차별화를 위해 브랜드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합니다. (-23-)



로베르토 베르간티 교수는 이제 사람들은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구매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사람들이 실용성, 목적성 뿐만 아니라 감정적, 심리적,사회문화적인 이유로 물건을 구매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베르간티 교수는 양초를 예로 듭니다. (-73-)



"타깃이 좁으면 그만큼 판매 기회가 줄어들지 않을가요?"

남녀노소 모두가 우리 브랜드를 좋아해 주면 좋겠어요." (-144-)



성공적인 브랜드는 색상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소비자에게 일관된 이미지를 심어 줍니다. 코카콜라의 빨강, 스타벅스의 초록, 카카오의 노랑처럼 브랜드는 고유한 색상을 선택해,존재감을 드러냅니다. (-178-)



브랜딩에서는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버리는 과감함이 필요합니다.브랜드의 가치, 강점, 철학이 응축된 단 하나의 '콘셉트'만 남기는 겁니다. 명확한 하나의 콘셉트가 소비자의 마음에 깊이 스며들어 강력한 인식을 만듭니다. (-208-)



어릴 적 브랜드 하면 떠오르는 것이 어떤 장소와 위치였다.학생들의 모임의 장소였고,그곳이 모여들기 좋은 친근하고, 정서적으로 가까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브랜딩이란 결국 누구나 알고 있고,친근하며, 하나 이상의 추억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을 때,만들어질 수 있다.



부산 서면, 전포공구길에, 이색책방이 있다.그 책방은 두권만 파는 무인책방이며, ‘이책저책'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한달에 책 두권만 판다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하지만, 사장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책방이라는 컨셉에 공간이 주는 의미를 서로 연결하였고 , 책에서 언급하는 정서적 연결을 '‘이책저책이 도입하였다. 부산은 국제 영화제가 있는 곳이다. 돈이 없는 이들이 쉽게 찾기 힘든 곳이기 때문에, ‘이책저책'이라는 책방을 열어서, 부담없이 편안하고,아늑하게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브랜딩 전략은 굳이 거창하지 않아도 된다. 그 자리에 있었으면 하는 것, 누군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찾아내 아이디어,기획,비즈니스화 한다면,그것이 제품 차별화,서비스 차별화가 될 수 있고,서로가 연결되고, 브랜딩 전략으로 성공하게 되며,누구나 찾는 제품,기업,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대기업의 브랜딩 전략은 물량공세에 의존한 브랜딩 전략,마케팅이 대부분이다.이런 상황은 소상공인에게 ,치명적인 경제적인 손실을 노출할 수 있다.예컨데, 입소문이 나서,장사가 잘되는 소상공인에게,가까운 곳에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등장한다면,소상공인에게 경제적인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이럴 때, 새로운 브랜딩전략을 도입하여,적용하는 것이 우선이다.그 다음 어떻게 해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 나갈 것인지 신경써야 하며, 매달 10만원이상 마케팅비용으로 치출할 수 없는 이들에게 이 책은 브랜딩 전략,마케팅 전략 구촉에 긍정적인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