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 마케터로 살아남기
최민선(취뽀도리몬) 지음 / 길벗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면에 비전공자 마케터는 전공 지식에 갇혀 있지 않아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어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리학을 전공한 경우 소비자의 인식 패턴과 심리학을 활용하여 이벤트를 기획할 수 있고,예술 분야를 전공한 경우 예술적 감각과 비주얼 자료를 적절히 사용하여 이전과 다른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겠지요. (-31-)



제가 생각하는 좋은 포트폴리오는 '가치'와 전달'을 잘 담아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치란 포트폴리오을 구성하는 내용 즉, 경력이나 이력,실력, 결과 등이 해당합니다. 전달은 포트폴리오를 전달하는 수단은 디자인, 레이아웃, 폰트 등이 해당합니다. 가치 없이 전달만 한다면 포트폴리오의 설득력이 떨어질 것이고, 반대로 가치가 높아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면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87-)



퍼포먼스 마케팅은 유의미한 데이터를 발견하고 가공한 후 해당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성과 중심의 마케팅 기법을 말합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는 주어진 마케팅 예산 안에서 최대한의 효율을 내기 위해 광고 채널, 광고비, 소재 등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사소한 수치 변화에도 민감해야 합니다. (-147-)



자체 평가서를 포트포리오로 만들어 제출한다면 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연봉 협상을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연봉 협상은 면접 전형과 비슷한 시스템이라고 생각합니다. 면접의 경우 지원자의 서류를 검토하여 능력치에 따라 적당한 보상을 산정하여 계약을 체결합니다. (-213-)



상사가 이메일을 선호한다면,기록, 히스토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사소한 일이라도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남겨두는 것이 좋으며,다른 소통 방법을 통해 결정된 내용이 있다면 이메일로 정리하여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신저를 주로 활용하는 상사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사람입니다. 메신저는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으며 빠른 결정과 효율적인 작업 처리가 가능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긴 이메일이나 대화, 회의 증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279-)



건축일을 하려면 건축을 전공해야 한다. 구조 설계도 마판가지다, 안전을 최우선하고, 전문적인 건축 지식과 역량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마케터로 일한다면, 꼭 마케터가 전공이 아니라도 일할 수 있다. 마케터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역량 때문이다. 비전공자가 가지고 있는 전공 지식이나 지혜가 마케터로서 성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문제는 전공자는 기본으로 아고 있는 지식이나 일하는 방식을 비전공자는 모를 수 있기 때문에,별도로 재우거나 익혀야 한다.일에 있어서, 소통과 협력, 커뮤니케이션을 우선하다. 




비전공자라 하더라도, 기본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마케팅을 전공으로 한 이들은 사업 기획이나. 포트폴리오, 아이디어 제공,제안서 작성에 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비전공자는 그렇지 못한다. 포트폴리오 하나 만들더라도, 어설프게 만들 수 있고, 그로 인해 전공자와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마케터로 막막한 포트폴리오 준비,회사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앞으로 비전공자가 역량을 키워 나가며,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로서, 면접관에게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고,합격률을 높일 수 있다. 예컨데,시각디자이너가 마케터가 되면, 시각적인 효과를 마케터에 써먹을 수 있고,심리학을 전공한다면,전공을 살려서 사람의 마음을 읽는 마케터가 된다. 이공 게열 전공을 가진 마케터,예술적 감각을 가진 마케터는 창의적인 포트폴리오를 만들수 있다. 결국 전공자라 하더라도, 자신이 어느 정도 역량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연봉 협상에 유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