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꿰매고 해를 씻기다
노병천 지음 / 들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의 정의를 보면 전략에는 두 가지 영역이 존재한다.'준비'라는 영역과 '활용'이라는 영역이다. 가용자원을 '준비'하는 축이 있고, 준비된 자원을 '활용'하는 축이 있다. 이 두 가지 축을 준비하는 것이 바로 전략이다.

두 축을 군사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군사전력'이고, 정치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정치전략'이고, 경제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경제전략' 이다. 전랙의 이름은 준비하는 주체에 따라 얼마든디 다르게 붙일 수 있다. 선거에 적용하면 '선거전략' 이 될 것이고, 투자에 적용하면 '투자 전략'이 될 수 있다. 그 어떤 전략도 그 근간은'준비'와 '활용'이다. (-341-)



전투할 때 군대가 취하는 진형은 매우 중요하다. 어떤 진형으로 적과 대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진형을 잘못 택하면 비록 수적 우위를 가지고 있더라도 패할 수 있다. 적은 수이지만 적절한 진형을 취하면 승리하기도 한다. (-137-)



이순신 전략의 마무리는'졸속'이다. 전쟁을 오래 끌지 않고, 모든 전투력을 집중해서,비록 내가 원하는 전과에는 미치지 못할지라도 , 보기에 썩 매끄럽지는 못할지라도'빨리' 끝내고,'깔끔하게 마무리' 하는 것이 졸속이다. 사람은 어떤 일이 잘 안 풀릴 때느 멈추기 쉽다. 그러나 잘 풀려나갈 때 ㅓㅁ추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멈출 수 있는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것이다. (-183-)



정걸이 판옥선을 만드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말이 있지만 여러 이견이 있다. 정걸은 이순신보다 31살이나 나이가 많았다. 정걸이 무과에 급제했을 때 이순신은 태어나지도 않았다.임진왜란 전에 이미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전라좌도 ,우도 수군절도사, 전라도 병마절도사 등을 두루 역임하고 은퇴하였아. 무려 77살의 나이였다. (-250-)



이순신은 결코 먼저 자신을 내세우지 않았다. 기적과 같은 승리 뒤에 통상적으로 따라오는 찬사 앞에서도 그 자신을 힘써 숨겼다. 그 자신의 공적을 내세우지 않고 반드시 부하들의 공적을 전면에 세웠다. 심지어는 비천한 종까지도 빠짐없이 승전보고서에 포함하여 그의 공을 격려하였다. 이순신은 전투에서의 승리는 자신의 공이 아니라 부대 전체의 공인 것을 분명히 하였다;. (-305-)



현충사 충무공 기념관에는 이순신의 장검이 있다. 2023년 8월 24일 국보 341호로 지정되었으며, 칼의 무게는 4.2~4.32kg이며, 길이는 2미터에 뮥박한다. 이순신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23전 23승을 거두었으며, 풍전등화였던 조선을 나라의 국운에서 구해낸 바 있다.



책 『하늘을 꿰매고 해를 씻기다』은 이순신 장군의 승전보 뒤에 숨겨진 리더십과 전략과 전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그가 살아생전 34전 34승(이책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을 거둔 이유를 손자병법에서 찾고 있으며, 그 이순신의 전략 프레임은 자보전승(自保全勝)에서 찾고 있었다.자보전승(自保全勝) 이란 손자병법에 나와 있으며, 전쟁에 나서면 승기를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이다. 자보전승(自保全勝)에 대해서, 일곱 가지 방안 “피실격허(避實擊虛), 세험절단(勢險節短), 출기불의出其不意), 전승불복(戰勝不復), 치심치기(治心治氣), 선처치인(先處治人), 승적익강(勝敵益强) ”이 소개되고 있었다.이 일곱 가지 방안으로 전쟁의 승리를 거두고,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였다.



책에는 솔연(率然) 이 나오고 있으며, 소통공감, 함께하기, 존중배려, 신상필벌, 전심전력, 자급자족, 솔선수범, 겸손희생, 사람냄새, 실력인품이 소개되고 있다. 근 20년간 ,우리는 이순신장군의 리더십을 히딩크의 리더십에서 본 바 있다.그는 16강을 통과하였고, 8강,4강까지 진출하였다. 남다른 용인술과 선수들이 똘똘 뭉칠 수 있었고, 대한민국이 아시아 최초 월드컵 4강에 진출하였으며, 일본도 해내지 못했던 축구 전략을 완성했다. 이순신 리더십은 단순하며 명쾌하고,누구나 해낼 수 있는 전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