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진심 - 언어의 마음을 알려주는 40가지 심리학
최정우 지음 / 밀리언서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제 해결도 중요하고, 실용적인 대화도 주요하다. 하지만 그 전에 상대의 감정을 먼저 헤아리자. 상대의 머리가 아닌 가슴을 향해 내뱉는 말은 큰 울림을 준다. (-16-)

"당신이 만나는 모든 사람은 당신이 잘 알지 못하는 전투를 하고 있다. 항상 친절하게 대하라."(-52-)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그 사람을 그리워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과 함께했던 시간을 그리워한다. "(-117-)

"사람들은 당신이 한 말을 잊어버릴 것이고, 당신이 한 행동을 잊어버릴 것이다. 하지만 당신 때문에 느낀 감정은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다." (-138-)

심리학에서 '상호성(reciprocity) 이론'은 누군가에게 도움이나 호의를 받았을 때 꼭 보답해야 한다고 느끼는 심리를 말한다. 도움을 받았다고 느끼면, 뭔가 빚을 진 것 같아서 언젠가 갚아야 할 것 같다. 먹을 것을 주고받는 것을 통해서도 이러한 마음을 나눌 수 있다. (-186-)

우리는 모르는 사람에게 조금도 피해를 보고 싶지 않은 마음이 있다. 아는 사람에게 받는 피해는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지만 모르는 사람에게 받는 피해는 감수하기 어려운 심리다. 똑같은 피해라도 상대와 얼마나 잘 아는 사이냐에 따라 반응하는 감정이 달라질 수 있다. (-194-)

말 그리고 마음, 그리고 심리다. 사람은 언어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말 속에서 한 사람의 진심을 알아내기 위해서,다양한 언어 스킬을 만들어 낸다.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치 사람 속은 모른다고 하였던가, 누군가에게 신뢰를 보인다는 것은 그 사람의 말에 진심을 담아낼 때이다. 말을 잘 하는 사람,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내가 쓰는 말과 언어을 잘 가꾸어야 한다.적절한 말을 쓸 줄 아는 사람이 성공한다.

모든 것은 순간이다. 감정,생각, 느낌,말이 그렇다. 청산유수처럼 말을 잘하는 사람도 필요하지만, 어눌하더라도,말에 진심을 담아낼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하다. 아픔에 공감할 줄 아는 말, 친절한 말, 그리고 서로에게 존경과 배려의 말이 우선되어야 하는 이유다.상황에 맞게 적절한 말을 쓸 줄 알아야 한다. 『말의 진심』에서는 말 속에 사람의 심리를 읽을 수 있고, 누군가의 말과 행동에 그 사람이 왜 그런 말을 의도적으로 하는지 알게 된다. 만남과 이별 속에는 항상 진심어린 말과 사소한 말실수가 있었다. 행복한 삶,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서, 상대의 마음을 두드리는 따스한 말 한마디가 필요하다. 말 하나로, 낯선 사람을 내편을 만들 수 있고, 상대방이 내 편이라고 느껴질 때, 그 말 속에 진심이 담겨지게 되고, 감동으로 , 나의 생각을 정확하게 말 속에 담아낼 수 있다. 언어로서 서로를 이해하고,말로서, 서로를 보듬을 줄 아는 사람,그 사람이 우리가 원하는 사람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