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유니버스 - 무한대로 확장하는 지식 재산의 세계
이한솔 지음 / 미래의창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작권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IP 기업은 흔히 '디즈니' 라 불리는 월트디즈니 컴퍼니 다. 디즈니는 자사의 IP를 매우 엄격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IP를 추적하고 차단하는 일은 물론,IP 가 보호하는 기간을 관리하는 일에도 심혈을 기울인다. 그 예로 1928년 <증기선 윌리 steamboat willie> 라는 에니메이션을 통해 처음 등장한 캐릭터인 '미키 마우스'를 꼽을 수 있다. 원래라면 미키 마우스의 저작권 보호 기간은 지금쯤 만료되고도 남았을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디즈니와의 비밀스러운 결탁을 통해 1976년과 1998년 두 차례에 걸쳐 저작권 보호기간을 연장하는 법안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는 일명 '미키 마우스법'이라 불릴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미쳤다. 결국 해당 법을 통해 <증기선 윌리>의 주인공 미키 마우스는 발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무려 95년 동안 제도적인 보호를 받게 됐다. (-18-)

대한제분은 1953년 설립된 국내 대표 밀가루 제조 기업이다.밀가루와 부침가루, 국수와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곳으로 그동안 트렌디한 느낌과는 거리가 먼 대중적인 이미지를 가진 기업이었다. 대한제분이 독특한 IP비즈니스로 화제가 된 것은 2018년 선보인 '곰표 티셔츠' 이후였다. 청년층의 수요를 얻기 위해 '리브랜딩' 작업을 거치며 곰표의 로고가 인쇄된 티셔츠를 판매했는데, 이 전략이 입소문을 타고 공표라는 브랜드에 새로운 화제성을 불어넣은 것이다. 티셔츠의 성공이후 곰표는 의류, 과자, 핸드크림, 주방용품 등 그야말로 전방위적인 컬래버레이션을 이어가는 중이다. (-27-)

그렇다면 디즈니는 어떨까?디즈니의 매출액은 아래와 같이 네가지 카테고리로 나뉜다.

1.리니어 네트워크 :디즈니의 케이블 TV 사업,ABC,디즈니, ESPN,내셔널지오그래픽 등의 채널을 송출한다.

2. D2C Direct to Consumer:디즈니가 직접 전개하는 OTT 사업, 디즈니플러스나 훌루,ESPN 플러스 등을 서비스한다.

3. 콘텐츠 판매와 라이선싱, 영화 배급 등

4. 디즈니 파크:디즈니가 운영하는 놀이공원인 디즈니랜드에서 발생하는 입장료와 상품 판매 등의 매출 전반을 말한다. (-125-)

우리가 IP비즈니스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간단하다. IP비즈니스가 급속도로 성장하며 소비문화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IP 비즈니스의 가장 큰 강점은 뛰어난 확장성과 높은 부가가치다. 단일 IP 의 성공은 수만명의 성공으로 이어지고는 한다. 개인의 삶을 바꾸고, 기업을 키워내며, 국가 경제와 문화의 성장에도 이바지한다. 그러니 여러 기업과 국가 차원에서 IP비즈니스에 자본과 인력을 투여하는 것도 그리 이상한 현상은 아니다. (-220-)

잘키운 IP 하나가 만들어내는 무한대의 비즈니스 경쟁력을 이해한다면, IP 비즈니스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 미국은 잘 만든 IP 하나로 디즈니가 있다. 디즈니는 자신의 IP를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으며,잘 만든 미키 마우스 캐릭터 하나로, 한 회사릏 먹여 살리고 있었다. 피카츄도 마찬가지이며, 음원에도 IP 비즈니스가 적용될 수 있다. 세게적인 음악가들이 자신의 저작권을 팔아서, 새로운 펀드를 만들면서, 음반 비즈니스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가고 있었다. 팬덤 이코노미, 콘텐츠 IP까지 연속될 수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곰표 밀가루 캐릭터가 여러가지 굿즈에 인쇄되어 팔리고 있는 것을 본다면, 친숙하고, 익숙한 Ip하나를 잘 만들어야 오랜 시간을 크리에이터 비즈니스로 이어나가게 된다. 피카츄, 스머프, 해리포터, 뽀로로도 포함하고 있었다. 애플 하면 생각나는 사과 일러스트도,그 것이 가지는 IP 하나에 대해서, 의미를 이해하고,무한대로 확장하는 지식 재산은 게임, 엔터테인먼트, 음반 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는 IP 하나에 대해 법적 보호와 사업확장성, 팬덤 확보,이 세가지를 IP 플랫폼 비즈니스에 갖춰 나가야 한다. 디즈니 회사가 미키마우스 캐릭터가 시대의 변화에 맞춰서 새롭게 거듭나고 있었다. 어릴 적 보았던 스머프도 미키마우스 패턴을 따라가고 있었다. 대한제분의 곰표 브랜드가 티셔츠 산업에 채움으로서, 희소성과 친숙함을 비즈니스와 결부시키고 있었다. 과거의 만화 캐릭터 스머프가 시대적 변화에 따라서, 캐릭터를 넘어서서,미키마우스 문화, 스머프 문화를 완성했다. 즉 IP하나에 개해 크리에티어, 콘텐츠 IP로 확장하면서 사업 확장, 뿐만 아니라 유통과 물류 에 반영할 수 있어야 새로운 비즈니스를 구축해 나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