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뇌는 어떻게 창조하는가 - 인공지능과 뇌과학으로 본 인간의 호기심과 창의성의 기원
다이코쿠 다츠야 지음, 김정환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3년 8월
평점 :
인간의 뇌의 통계 학습을 통해 불안정하고 부롹실한 현상의 확률을 계산함으로써 주변 환경의 확률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려 한다. 그것을 파악하면 다음에 어떤 일이 어느 정도의 확률로 일어날 수 있는지를 예측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일어날 확률이 낮은 현상은 무시하고 일어날 확률이 높은 현상만을 위험 요소로 파악해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22-)
언더 마이닝 효과
음악은 즐겁다. 재밌다고 느끼면서 열심히 연습한다.
프로 연주자가 되어 돈을 받게 된다.
돈을 받기 위해 일하게 된다.
의욕이 저하된다. (-11-)
월러스의 4단계
1.준비단계 :문제 확인과 정리, 다양한 해결책 제시
부화 단계:일단 문제에서 벗어난다.
발현 단계:아이디어가 번뜩인다.
검증 단계: 아이디어의 검증과 조사.
첫 번째 단계인 준비 단계는 문제 해결로 이어지는 창조적인 발견과 발명을 만들어내기 위한 사전 준비 기간에 해당한다. (-130-)
확산적 사고 검사에서 네 항목의 점수가 얼마나 균형 있는지는 그 사람의 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유창성과 정교성이 매우 높고 독창성이 낮다면, 모두가 자주 떠올리는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는 뜻이다. 이런 사람은 창조성이 높다기보다 생산 능력이 높은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144-)
지금 우리 사회는 창조성과 독창성과 논리,사고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예전에는 암기력,수리력을 가장 높이 샀지만, 암기력과 수리력은 기계, 컴퓨터에 의해서 대체가능한 성격으로 치부되었고, 서서히 새로운 가치를 요구하고 있었다. 챗GPT 가 등장함으로서, 인간이 가지고 잇는 고유의 성격이 하나 둘 경쟁력을 읽어가고 있었다. 그리하여, 창조력과 협력, 연대를 우선하고 있는 사회적인추세다. 창조성은 나만의 특별한 가치이며,의미가 되고 있었다. 남들이 하지 못하는 것들, 남에게 드러낼 수 없는 것들에 대해서, 하나 하나 이해한다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실력이나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간은 편리한 것을 좋아하며,뇌의 진화도 그런 방향으로 이어져 왔다. 인간의 이타적인 행동과 이기적인 행동은 그 과정에서,사회의 변화에 발맞춰 오고 있었으며,우리는 새로움과 익숙함을 확인시켰다. 결국엔 스스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통해,나의 현재의 조건과 상황을 이해하고,그 안에서,다양한 아이디어를 직접 만들어 낼 수 있는 시간 투자, 노력을 투자할 수 있어야 하며,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뇌가 가지고 잇ㄴ느 특별한 가치들을 찾아내고, 뇌과학적인 관점에서, 스스로 새로운 인생을 살아갈 수 있다. 나만의 독창성을 특별한 창조성으로 이어나갈 수 있어야 하며,스스로 새로운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바꿔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