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있는 그대로 인도 ㅣ 나의 첫 다문화 수업 11
김기상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3년 8월
평점 :





바로 약 6세기 졍 인도에서 유행했던 '차투랑가'라는 게임이 현대 체스의 원형이가. 차투랑가는 네 명의 경기자가 각각 한 개씩의 왕,비숍,기사 , 루크와 네개의 폰을 갖고 두 명씩 연합해 64개의 정사각형 위에서 싸우는 게임이다. 현대 체스와 매우 유사하다. 이후 차투랑가는 아라비아를 거쳐 페르시아와 유럽으로 퍼져 현재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게임이 되었다. (-29-)
겉으로는 비동맹주의 외교를 추진한다고는 했으나 군사적 측면에서 인도는 구소련의 무기를 대량으로 구매하고 원자력 산업과 같은 국가 주요기간 산업에서는 구소련과 긴밀히 협력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구소련의 몰락으로 냉전 질서가 붕괴되자 그동안 구소련에 치우쳐왔던 관심을 미국, 중국 및 서구 유럽 국가로 돌리기 시작했다. 비동맹주의 외교 노선이 실리주의 외교로 변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57-)
인도의 가장 대표적인 교통수단은 단연코 오토릭샤이다.노란색 지붕에 초록색 몸통을 가진 오토릭샤는 인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기도 하다.작고 민첩한 움직임 덕분에 크고 작은 도로에서 불편함 없이 다닐 수 있고 택시에 비해 저렴한 요금 덕에 서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102-)
1893년부터 약 21년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거주했는데 그곳에서 힘겹게 생활하는 인도 사람들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이는 시민운동가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1915년 인도로 돌아온 그는 고국의 독립 운공에 대항해 비폭력 불복종 운동을 이끌며 인도 독립의 정신적인 기둥 역할을 했다. (-157-)
힌두교는 전 세계 인구의 약 15퍼센트인 약 12억 명 정도가 믿는 종교로 기독교, 이슬람교에 이어 세계 3대 종교이다.인구 14억 명 중 약 80 퍼센트가 힌두교도인 인도와 인구 대두분이 힌두교도인 네팔에 대부분이 몰려 있지만 스리랑카와 방글라데시와 같은 인접 국가에도 힌두교도가 살고 있다. (-181-)
인도남성의 의복을 알아보자 .인도 여성의 대표 의복이 사라라면 인도 남성의 대표 의복은 '도티'이다. 도티는 약 5미터 정도 되는 바느질 하지 않은 직사각형 천으로 하의로 입는다. 도시와 농촌을 불문하고 현대 인도 여성에게 아직도 사랑받는 사리와 달리 도티를 입고 다니는 남성은 많이 줄었다. 뉴델리에서는 사리와 살와즈 카미즈를 입고 다이는 여성은 흔히 볼 수 있지만 남성의 전통하의인 도티를 입고 다니는 남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217-)
인도는 중국을 넘어서서,세계 1위인 14억 인구를 가진 나라였다. 인도가 가진 국력과 사회제도는 주변 국가에게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인도 여행을 자주 다니는 한국인이 늘어나고 있다. 1980년대 한국을 연상시키는 누추함과 낡고, 더러운 인도의 문화와 전통 , 사회 모습 뒤에는 우리가 과거,의식주를 해결하는데 급급했던 그 시절의 빈곤을 엿볼 수 있다.여전히 겐지스 강에서 빨래를 하고, 그곳에서 화장을 하는 정통적인 인도의 모습이 있으며, 그곳이 왜 한국인에게 매료될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 보고자 한다.
기독교와 불교,이슬람교가 유일신을 믿는 반면 힌두교는 다신교이다.세계 3대 종교 중 하나인 힌두교는 인도를 상징하고 있으며, 인도 지역사회 곳곳에 스며들고 있다. 과학 문명이 발잘한 나라 인도는 특유의 높은 교육열이 있었으며, 미국 실리콘벨리에 많은 IT인력이 들어가고 있었다. 특히 인도는 중국과 인접하고 있어서, 외교에서 중립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비동맹주의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 비동맹주의 외교를 유지하고 있거나,구소련과 군사적 협력 관계를 추구할 때도 있다. 러시아, 미국, 프랑스, 중국, 영국, 이스라엘, 파키스탄, 북한에 이어서, 8개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도가 포함하고 있으며,우주개발 선도국이기도 하다. 여기서 인도의 독립을 주도 했던 다섯 독립투사가 소개되고 있었으며, 독립투사 마하트마 간디, 빔라오 암베드카르, 발라바이 파텔, 수바스 찬드라 보스, 무함마드 진나가 있다.이들 다섯 독립 투사는 영국에 대항한 인도의 독립 운동이 오로지 비폭력 불복종 운동으로 이루어졌으며,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무력 독립 투쟁을 주도한 인물이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 물론 인도와 대척관게에 있는 나라 파키스탄의 국부인 무함마드 진나를 이해한다면,왜 파키스탄이 인도와 국겨을 맞대고 충돌할 수 밖에 없은지 알 수 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쓴 후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