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류성 식도염 - 소화기과 명의가 가르쳐주는 최고의 치료법 대전
미와 히로토 외 지음 / 보누스 / 2023년 7월
평점 :

역류성 식도염은 위액에 포함된 위산이 역류해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짓무름)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식도는 소화기를 구성하는 기관 중 하니입니다. 우선 소화기에 대해 조금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4-)
역류성 식도염에서는 여러 가지 불쾌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4가지 증상이 '가슴 쓰림','산 역류','삼킥 어려움','가슴 통증'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을 앓는 사람의 40% 이상에서 나타나는 증상이 '가슴 쓰림'입니다. (-17-)
위액에 포함된 위산은 식도의 점막을 손상시키는 주범입니다.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위산의 분비량이 달라지는데 고기나 지방분이 많은 음식물,카페인과 알코올 등 자극적인 음식은 위산 분비량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이런 음식을 반복적으로 섭취하면 역류성 식도염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48-)
최근 의료 현장에서 '순응도'(adherence)라는 말이 자주 쓰입니다.'환자가 자신의 병을 제대로 이해하고 치료 방침 결정에 도의한 후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느나'라는 개념으로 더 큰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는 역류성 식도염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의사에게 거리낌 없이 물어보고 의사는 환자와 진지하게 마주하면서 상호 이해를 높여 양질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14-)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생활습관은 식습관입니다.
역류성 환자 중에는 '식후에 증상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라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습니다.이는 식후 일어나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 저하에 의한 위산 역류가 원입입니다.
입에 들어온 음식물이 식도를 지나 위로 들어가는 입구인 분문에 도달하면 분문을 둘러싼 하부 식도 괄약근이 느슨해지면서 음식물이 위속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위는 만복 시에는 1.2~1.5 리터나 담을 수 있으므로 평소에는 당연히 역류할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너무 많이 똔므 더무 빨리 먹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식도나 위에 커다란 부담이 가해지면서 하부 식도 괄략근을ㄹ 느슨하게 만듭니다. (-160-)
요즘 들어서 역류성 식도염을 걱정하고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식후 일어나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 저하에 의한 위산 역류'로 인해서 발생한다. 불규칙적인 식습관과 야식으로 인한 복부팽만감은 일상 생활에서, 음식을 섭취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생화습관,식습관을 고치기가 근본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식사 때를 놓치게 되면, 먹을 수 있느 시간을 놓치고, 늦은 저녁을 먹게 된다.누군가 음식을 먹을 때,같이 먹게 되는데,자극적이거나, 알코올, 카페인 음식이 대부분이며, 프랜차이즈 음식을 먹음으로서, 여러가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속쓰림, 구토가 나타난느 이유다.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나이가 먹어서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구부정한 자세에 있다고 말한다. 즉, 나이가 들어서, 다리가 붚편하거나,허리 통증이 있는 이들, 걷기가 매우 힘든 이들에게 역류성 식도염 염증이 주로 나타나게 되는데, 식습관을 근본적으로 바꿔 나가야 해결이 가능하다. 꼭꼭 씹어서,저작기능을 활성화하고, 나에게 이로운 식습관을 유지한다면, 위산 분비로 인한 역류성 식도염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위점막 훼손에 큰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적게 먹고,짜게 먹지 말아야 한다. 결국 건강한 삶, 역류성 식도염에서 해방되려면 식습관을 바꾸는 것 뿐만 아니라,일상생활을 역류성 식도염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생활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