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세무 가이드 - 초보 창업자가 검색창에 많이 묻는 질문
정영록 지음 / 중앙경제평론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자상거래업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업과 같이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업종은 집 주소로 사업자 등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도매업이나 창고업, 음식업업, 건설업 등 자택에서 할 수 없는 사업이라고 판단되면 집 주소로 사업자 등록을 신청하더라도 거부될 수 있어요.

식품제조업이나 여행업, 관광업, 미용업처럼 인허과 과정에서 특정 용도의 건축물만 사업장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지정된 업종일 경우도 마찬가지에요. 간혹 세무서 조사관이 지도의 로드뷰로 확인하거나 현장 조사를 나온 뒤 사업자 등록이 거부되는 경우도 있어요. (본문)

창업을 하려면 사업자등록이 필요하다. 내가 하고자 하는 사업의 종류와 목적에 맞게 인허가가 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 사업자 등록이 거부되는 사례도 종종 있다. 과거에 먹고 사는 것이 급해서, 노점이나, 장돌뱅이 같은 방법으로 일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지금은 1인 사업자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굳이 사무실이 없다 하더라도, 집주소로 사업자 등록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업종이 온라인 판매 쇼핑몰 이나, 글을 주로 쓰는 작가, 퍼실리테이터, 프리랜서가 여기에 해당된다. 물론 사업의 규모가 어느 정도 큰 창업이라면, 직접 세무사에 맡길 수 있다.그러나 초보 창업자라면, 굳이 그럴 필요는 없다.창업을 할 떼, 회사명만 있고, 서업장이 없는 페이퍼컴퍼니 같은 유령 회사가 얼마든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창업의 목적과 사업장이 분명해야 하며, 특정 업종의 겨우 거부될 수 있다.

사업에 따라서,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공모사업에 응묘할 수 있다. 특히 정부지원 공모 사업의 경우,사업자 등록이 없을 때, 대리 사업자로 등록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어떻게 사업을하느냐에 다라서, 복잡하지만 꼭 필요한 서류,문서를 미리 준비해 놓은 것이 좋다. 물론 사업에 따라서, 탈세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세무가이드가 꼭 필요하며, 절세 방법을 알고, 어떻게 하면, 정부의 지원을 얻을 수 있는지 꼼꼼히 살펴 보아야 한다. 즉 내가 어떤 창업을 하는지도 중요하지만, 창업의 목적과 그 창업이 주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체크해 나가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창업 이후 세무가이드, 법인세 , 개인 사업자 등등 꼼꼼하게 살펴 보아야 하는 요소들을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