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챗GPT와 Bard 질문법
장대은 지음 / 문예춘추사 / 2023년 6월
평점 :

챗 GPT와 Bard를 통해 나타나는 임계점을 넘어선 진보를 보며 앞으로 펼쳐질 미래가 기대되는 것은 사실이다. 동시에 인공지능의 진보가 초래할 수 있는 미래의 여러 문제에 대비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다. 해결해야 할 문제는 예상치 못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주어질 수 있다. (-7-)
선견지명 은 앞을 내다보는 안목이란 의미의 사자성어다,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잘 살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지혜를 말한다. 바람 속에서 바로 보는 능력이며, 경제 지표와 시장 흐름 속에서 불황을 예측하는 능력이다. 이슈, 트렌드 변화 가운데서 내일의 새로운 도전을 예측하는 능력이다. (-76-)
첫째, 챗GPT와 Bard 의 방대한 데이터는 한 개인의 인지역량으로 소화할 수 없는 광범위한 지식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챗GPT 와 Bard 는 자신이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문자가 요구하는 질문에 적합한 답변을 다양한 주제와 맥락을 고려해 최고의 답변으로 생성해내는 일에 특화되어 있다. 같은 질문에도 맥락에 대한 전제를 달리하며 바로바로 답변을 생성해낼 수 있다.
둘째,챗GPT와 Bard 는 문장 생성 능력 뿐 아니라 서술 방식에서도 매우 자연스러운 언어 표현 능력을 갖춘 고차원적 인공지능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챗GPT 와 Bard 출현 전에도 인공지능의 정보력은 인정받았으나 논리와 표현이 이토록 자연스러우리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 임계점을 넘어 빠르게 진보해가는 인공지능에 대해 두려움을 갖는 이들이 생기는 것도 무리는 아닌 듯하다. (-139-)
선호도 조사는 대중의 취향(Taste), 기호(Likings)를 파악하며 사람들의 선택(Choice) 방향, 영역을 알아내는 과정이다.이렇듯 조사, 설문을 통해 통계자료를 얻는 과정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히 드는데, 챗GPT 와 Bard를 활용한다면 특정 소수만이 할 수 있던 이 작업을 누구나 할 수 있다. 그것도 매우 신속하다.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와 Bard는 질문자가 질문을 건지면 몇 초 안에 답변을 준다.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데이터 양을 바탕으로 질문에 따라 빠르게 집계하여 답변을 제공해 준다. (-273-)
챗GPT는 우리에게 기존의 인식과 지혜를 만들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무시할 정도로 강력한 정보를 주고 있었다. 챗GPT은 생성형 인공지능이라고 말하는데,인간의 질문에 적절한 답변을 한다.그 답변은 수집한 데이터에 의해 만들어진 답변으로서, 인간이 평생 자신의 인생을 다바쳐서 만들어낸 철학적 질문에 대한 답을 얻고자 노력해 왔던 그 긴 시간을 인공지능 챗GPT는 몇 초 안에 답을 줄 수 있다. 단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도 중요하지만,인문학적 성찰이나 깊이 생각해야 하는 질문이 우선되어야 한다. 질문은 생각의 네비게이션으로서, 보이지 않는 세상을 보는 현미경이다. 그리고 스티브 잡스는 대담한 질문을 통해 미래의 기술, 스마트폰 기술과 그에 적합한 디자인을 만들었다. 이러한 노력들을 보면,질문이 아니디어가 되고,그 아이디어가 미래를 바꾼다. 버스 안내양이 사라지고, 지금처럼 자율주행자동차가 생겨난 것도 꼬리에 꼬리를 물고 들어가는 질문에 있다. 즉 어떤 질문은 그 사람을 색다르게 새롭게 한다. 미래를 바꾸는 것도,미래를 망치는 것도 질문이다. 알고리즘에 의한 질문,그 질문이 인간이 새로운 것을 상상하고, 통찰하며, 우리를 이롭게할 수 있다.미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씨앗이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