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조직이 살아남는다 -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뉴노멀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경쟁력
엘라 F. 워싱턴 지음, 이상원 옮김 / 갈매나무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적극적 우대조치는 핵심적 역할을 맡아 훌륭히 수행해냈다. 수많은 기업과 조직은 아직도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적극적 우대 조치는 경영자들이 불균형,불의, 실수를 교정하도록 기회를 주는 인위적이고 임시적인 개입이었다. (-28-)

다양성: 사람 간 관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실재하거나 인식된 차이, 인구학적 다양성 뿐 아니라 모든 측면을 포괄한다.

형평성: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동등한 지점에서 평등하게 출발하지 않았다는 것, 따라서 모두가 성공할 기회를 만들려면 체게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는 바탕에서 마련된 공정성과 공평성

포용성:모두가 성공할 수 있는, 그리고 가치 있고 환대받고 존중받고 지원받는다는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의 적극적 조성, 행동과 감정, 즉 실천과 결과는 진정한 포용을 실현하는 두 가지 핵심 요소이다. (431-)

리더의 역할은 겸손하고 경청하는 것이지만 결국 최종 결정은 리더의 몫입니다. 다른 모든 사람의 생각을 고려하다 보면 늘 머릿속이 혼란스러우리라는 걸 일찌감치 깨달았습니다. 회사 내 절친한 동료들이 다가와서 "임,이렇게 하라고 우리가 당신을 뽑은 게 아니에요. 엉뚱한 곳에 집중하고 있네요."라고 말한 적도 있었습니다. 마음이 상했지만 전 귀를 기울였고, 그들의 의견을 고맙게 받아들였습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야 할 일을 미루지는 않았죠, 전 화내는 대신 웃는 얼굴로 그들과 시간을 보내고 설득을 시도했습니다. 제가 옳다고 생각한 일을 양보하지는 않았고요. (-114-)

백인 남성 경영진을 대거 참여시키고 지지를 얻는 것이 저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였습니다. DEI 가 법적 요구를 둔 비즈니스와 무관하다는 그들의 시각을 바꿔야 했습니다. 또한 이 제도가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고용할 방법이라는 점도 납득시켜야 했습니다. 또한 이 제도가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고용할 방법이라는 점도 납득시켜야 했죠.진저으로 다양하고 평등하며 포용적인 조직을 원한다면 DEI 가 시장 차별화 요소이자 원동력임을 인식하도록 해야 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경영진이 자신의 학습 여정에 주인의식을 가져야 했씁니다. 저는 경영진이 저항을 버리고 포용적 리더십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했고요. (-187-)

돌이켜보면 회사의 발전에 핵심적인 요소로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인재 :채용 편향성 문제해결, 채용 대상 확대 노력, 승진 후보바 인력풀 구축

공급망:소수자가 소유한 상품 및 서비스 공급업체 발굴

지속적인 개선:외부 파트너의 전문성에서 배울 점 학습 (-262-)

나는 DEI 가 인간성을 고양하는 일이라 말하곤 한다. 그리고 인간성의 특징은 진화다. DEI 요구는 앞으로도 항상 존재하였지만 현재의 논의에서 다음 단계의 DEI 영역으로 발전해가길 희망한다. 이를 테면 다양성이 크게 두드러지는 Z세대가 사회의(그리고 기업의)정체성 규범을 어떻게 재편해 나갈지 다룰 수 있다. 원격 글로벌 인력이 그 어느 집단보다 포용적인 이유, 포용성과 최적의 업무 성과를 위한 정신 건강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가능한 주제이다. DEI는 진화할 것이고 또 진화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사라지기를 바라서도 안 된다. DEI는 모든 사람이 직장에서 번성하도록 해준다. 그러니 DEI 여정을 함께 걸어가면 좋겠다. (-280-)

엘라 F. 워싱턴의 「다정한 조직이 살아남는다」 는 DEI 가 나온다. 여기서 DEI는 기업 경영의 핵시ㅁ가치로서, 다양성(diversity),형평(equity), 포용(inclusion)이다. 미래의 기업이 만들어 나가는조직 문화의 핵심 가치 세가지다. 이 세가지 핵심 가치는 MZ 세대가 원하는 조직문화의 핵심가치로서, 이전에 만들어진 조직문화 안에 숨어 있었던 조직 불균형, 사람간의 불의 ,실수를 줄여 나가는 대안적 조직문화이었고, 다정한 조직문화다. 기업 경영에서, 포용성과 형평, 다양성을 기본으로 한 한 팀을 이루고, 그 팀 내부에 , 형평과 포용,다양성, 투명성,인정, 개방 ,겸손을 성찰의 과정에 포함시킨다 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즉 조직 문화가 기업의 목표와 비전에 유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대안적 비즈니스 모델이며, 건강한 기업 문화로 정착할 필요성이 있다.

기업은 건강한 비전 뿐만 아니라., 미래의 사회적 가치,환경,사회,거버넌스, ESG 경영에 발맞춰, 나아갈 수 있어야 하며,그에 맞는 기업 문화가 바로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DEI 다.회사의 발전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 세가지 , 인재(채용 편향성 문제해결, 채용 대상 확대 노력, 승진 후보나 인력풀 구축), 공급망(소수자가 소유한 상품 및 서비스 공급업체 발굴),지속적인 개선(외부 파트너의 전문성에서 배울 점 학습) 을 확보할 수 있으며,기업은 지속적인 리스크르 줄여 나가면서, 기업 성장을 꾀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