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죽음 - 죽음에 대한 인문학이야기 : 연예인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통합의료인문학문고 3
이상덕 외 지음,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기획 / 모시는사람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하라는 1991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SM 엔터테인먼트와 JYP 엔터테인먼트의 연습새을 거쳤는데, 데뷔 기회는 DSP 미디어(구 대성기획)에서 찾아왔다. DSP 의 걸그룹 카라의 멤버였던 김성희가 갑자기 팀을 떠나게 되자, 2008년 카라의 새 멤버로 갑작스럽게 데뷔하게 된 것이다. 2008년 7월 카라의 미니1집 《Rock You》 로 공식 데뷔했고, 같은 해 12월 미니 2집《Preytty Girl》 이 인기르 끌었다. (-81-)

결국 2016년 구하라는 박규리, 한승연과 함께 DSP 와의 계약을 종료하였고, 사실상 카라의 활동 역시 마무리되었다.

대중들 앞에서 밝고 적극적이었던 구하라의 모습도 점차 보기 어려워졌다. 2017년에는 논현동의 수십 억 대 건물주가 되었다는 소식으로 부러움을 사기도 했지만, 2018년 이후 구하라는 전 남자친구와의 폭행 관련 논란, 자살시도설 등 그다지 밝지 못한 이슈로 매스컴에 등장했다. 그리고 2019년 11월 24일 , 구하라느 청담동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28세의 나이였다.

걸그룹 f(x) 출신의 가수 겸 배우 설리가 세상을 뜬 지 41일 만의 일이어서 팬들의 충격은 더욱 컸다. (-85-)

책에는 연예인들의 죽음에 대해 소개되고 있다. 신해철, 박주아, 구하라, 박지선, 이영훈, 카렌 카펜터, 오자키 유카타,그리고 2003년 4월 1일 ,만우절날 거짓말처럼 우리 곁에서 멀어졌다. 그 대 당시 그의 죽음에 대해 말한 적 있었고, 그가 죽은 이후의 삶에 대해 우리는 더 알고 싶어했다.

그중에 2019년 11월 24일 세상을 떠난 구하라가 특히 기억에 남았다. 카라 의 새 멤버였던 구하라는 한승연, 박규리,강지영등과 함께 구설수에 오른 바 있었다. 추석 특집 프로그램에서, 구사인볼트라는 별명을 얻었던 구하라의 모습을 보면, 여자 아이돌이 출연했던 청춘불패가 먼저 떠오른다. 농촌 시골생활을 모티즈로 한 그 프로그램에서,구하라는 유난히 열심이었다. 하지만 구하라가 사망한 이후, 물질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사랑에 대한 갈망이 구하라에게 있었다. 그 당시 노브라 패션으로 논란이 많았던 f(x)의 멤버 설리가,대중의 질타를 견디지 못하고, 목숨을 잃은 바 있었기에 설리의 죽음과 구하라의 사망을 오랫동안 기억한 적이 있다. 구하라 사망 이후, 서로 연락이 되지 않았던 부모가 구하라의 재산을 가져간 것에 대해 사회적으로 따가운 여론이 있었으며, 구하라법이 그 당시 제정된 바 있다.

신해철의 석연치 않는 죽음, 그는 의료사고로 사망했다. 그 때, 신해철 수술집도의는 방송에도 다수 출영할 정도로 인지도가 있는 의사였다.신해철은 의사를 믿고 수술에 임하게 되었는데, 가벼운 수술인 줄 알았지만, 차가운 시신으로 돌아온 바 있었으며,그 의사는 이후 의사면허가 박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생활를 지속하고 있어서, 문제가 된 바 있다. 책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수많은 연예인이 사망한 적이 있다. 그중 한사람 최진실과 그 주변 인물이다. 최진실의 가족들의 죽음,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사망으로 가장 충격받았던 이가 정선희였다.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자살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예방과 대응이 시작된 계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