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기보다 끊기 - 성장보다 성숙이 필요한 당신에게
유영만 지음 / 문예춘추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서 중요한 삶의 자세는 도착지가 아니라 방향을 선택하는 일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목적지에 가급적 빨리 도착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젖어 살아왔다. 내가 거기에 왜 도달해야 하는지이유는 중요하지 않다. 이미 정해진 목적지는 우리 모두 가 도달해야 할 인생의 종착역이기 때문이다. (-9-)

큰 사고는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 이전에 수많은 조짐과 징후를 보이다가 그것이 누적되어 한께번에 크게 일어나는 것이다. (-43-)

김씨는 줏대 없이 아내 의견에 따라 간 것을 후회했다. 그는 나날이 비관적으로 흐르는 분위기에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거렸다.

재작년에 아내가 '아파트르 사자'고 성화를 했을 때, 그는 내 집 장만을 해서 이사를 가자는 것인줄 알았다. (-89-)

진정한 배움은 버림에서 일어난다. 창조적 폐기학습(unlearning)이라고 한다. 새로운 학습(learning)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빈 공간이 있어야 한다. 낡은 습관과 사고로 꽉 차 있는 뇌에 빈 공간을 만드는 학습이 폐기학습이다. (-117-)

아름다운 세상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목표를 향해 달리는 속도를 줄이고 각도를 넓혀야 한다. 각도를 넓혀야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과는 다른 삶의 가능성도 볼 수 있다. 경제 빙하기가 계속될수록 앞만 보는 시선보다 주변을 둘러보는 시야가 더 중요하다.시선이 고정되면 사선도 무의식중에 넘어버린다. 고정된 시선에서 눈을 떼고 시야를 넓혀야 이전과 다른 시각이 생긴다. (-`163-)

질경이는 한계를 기회로 바꾸어 삶을 이어가는 지혜의 풀이다. 바닥에 납작 엎드려 살안마고, 밟히는 순간조차 번식의 기회로 만든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좋은 기회는 자세를 낮추는 사람에게만 보인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기회가 높은 곳에 있다고 착각하지만 , 대개의 경우 땅바닥에 깔려 있다고, 앞서 경험했던 사람들이 말한다. (-255-)

대한민국은 여전히 1등 지상주의다., 학생이라면,대학교에 들어가서,대학교 년 장학금, 수석을 차지하면, 많은 사람들이 칭찬한다. 현수막을 걸고 자랑하기 바쁘다. 부모가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1등 엘리트를 추구하다 보니,물질적 풍요로움과 사회에서 매몰 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함께 한다. 목vy지상주의이면서, 방햐은 고려하지 않는다. 공부를 잘하면, 이과는 의사, 문과는 변호사를 당연하게 생각한다. 한국 교육과 너무 다른 독일의 교육, 한국은 입학이 어렵지만, 졸업이 상대적으로 쉽다. 독일은 입학은 쉽지만 졸업이 너무 힘들다. 이 둘의 차이가 독일이 1등 지상주의가 가진, 사회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사회인을 만들기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이다.

대한민국 사회 너머에 끈기와 성실을 강조하는 사회, 사람과 사람 관계에서 보이지 않는 미덕이 감춰져 있었다. 그로 인해 우리 사회는 여러가지 모순을 낳고 살아간다. 서로 배려하지 않고, 누군가 발밑에 두어야 안심이 된다. 1등이 되어서도 , 행복은 잠시였으며,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즉, 우리 스스로 바뀌어야 할 때이다. 지식 생태학자 유영만 한양대 교수가 지식을 폐기할 것을 말하고 있다. 교육에 대해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매우 주요한 교육적 메시지였다. 우리가 너무 앞으로 전진하다 보니 세상을 보는 시야가 좁아지고 있다. 서로를 배려하지 않고, 편법과 혐오,마녀사냥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회에서 살아가고 깄으면서, 절망과 위선으로 가득찬 사회에서 벗어나 성장과 건강,긍정을 우선하는 미래 사회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남이 먼저 바뀌길 기대하지 말고, 스스로 바뀌어야 하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