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치울의 리듬
호원숙 지음 / 마음의숲 / 2023년 5월
평점 :



탁자에 쌓인 책을 정리한다. 읽어야 되는 책만 남기고 나머지는 서재로 보낸다. 미안해, 다 훑어보지 못한 것이. 털실로 손녀 목도리를 뜨려 했지만 포기했다. 코바늘을 돌리는 긴장감을 손가락이 견디지 못한다. 사놓은 털실을 어쩌지?
가장 완벽하게 즐거운 샤워 시간. 뜨거운 물이 온몸을 적시면 충분히 행복하다.미용실에서 추천받아 산 헤어 영양크림을 바른다. 힘없는 머리칼에 정성을 들여보자.
택배가 와서 열어보니 핸드크림이 들어 있다. 새 물건을 출시하면서 어머니의 글을 인용한 카드를 넣었나 보다.
수둑수둑 마른 꽃과 잎에다가 백반을 섞어서 곱게 빻아 피마자 잎에 싸 놓는다. (-24-)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 글 중에 <행복하게 사는 법> 이라는 글이 있다.거의 마지막으로 쓰신 글이고 나에게 타이르듯이 말하는 목소리가 당겨 자주 꺼내서 읽게 된다. 어쩌면 나를 행복하게 한 것은 가족과 친구들. 그리고 책 속에서 아름다운 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배우고 따르고 싶어 했던 순수한 마음이 아니었을까? 남이 나를 알아주길 기다리는 것보다 나 스스로 먼저 알아주고 발견해 갈 때 저절로 행복이 따라오는 것 아니었을까? (-106-)
세상에 이런 걸 소환하다니,그들의 콘셉트는 무엇일까? 20년 가까이 지난, 2004년 어느 날 글을 써야지 생각하면서 ,《아침산책>이란 제목으로 시작한 글.나도 잊어버렸는데,그들은 그 부분을 클로즈업시킨다.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소주병이 잔뜩 너부러진 쓰레기장을 쑤셔 먹이를 찾는 비둘기에게 "비둘기야 비둘기야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 속에서 네 먹이를 찾지 말아라. 숲으로 가서 본디 너의 먹이를 찾으려무나 . 손쉽게 쓰레기로 배를 불리지 말아라" 라며 혼잣말을 하고 있다. (-144-)
《문학사상》 에 연재되었던 어머니의 《도시의 흉년》 의 원고를 소장하고 있는 문학관. 그걸 볼 때마다 지금도 서슬이 퍼렇게 빛나는 글씨.
문학과 예술에 대한 사랑과 존중감릏 실천하였던 분.항상 미래를 향해 달려가셨던 분. (-174-)
가을이 깊어가고 있어. 새벽에 마다에 나가면 앞산과 마당의 단풍든 나무들처럼 공기마저 같은 빛깔에 물드는 순간이 있어. 파스텔 색조의 홍차 빛깔이야. 해가 떠오르면 그 빛은 사라지지만 나는 가을 새벽에 순간적으로 느낄 수 있는 그 물기 어린대기가 신비로워 한염없이 바라보게 돼. (-239-)
어머니가 쓴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에서 어린 조카들을 데리고 피난을 가는 중 교하라는 곳에서 잠시 평온을 찾는 장면이 떠올라. 기침이 멈추지 않은 어린 조카에게 집주인 마님이 호두를 쩌서 기름을 내어 먹여주는 모습이 눈에 보이는 듯해. 전쟁 중에도 은인이 있어.그 재난을 이겨낼 수 있었던 거지.작가가 기록을 하지 않았으면 해. 다 묻혀 사라져갈 장면이겠지. (-268-)
호원진과 작가 박완서 사이에 태어난 호원숙 작가(1954~)는 『아치울의 리듬』을 통해서, 경기도 구리시 아치동, 아치울 마을에서 고인이 된 박완서 작가의 흔적을 담아내고 있었다.
1970년 마흔 소설 『나목』으로 등단한 박완서는 박경리 2008년 고인이 된 대하소설 토지를 쓴 박경리 자가와 함께 문단의 쌍두마차를 형성하였다. 박완서 자가의 삶은 우리에게 미래를 위한 위로와 치유, 평화로운 삶을 꿈꾸고 있었다. 삭막한 삶에 대해서 안타까워 했으며, 눈앞에 보이는 행보을 담아내지 못하는 현대인들의 쓸쓸함 삶을 보면서, 자연 속에 위로를 느끼는 법을 일깨워 주고 있다. 박완서의 작품 중 널리 알려진 책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서는 기록되지 않은 우리의 아픈 근현대사가 읽혀진다. 아치울 마을에는 딸 호원숙과 박완서 작가의 마지막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었다. 아직 그를 기리는 독자들은 딸 호원숙을 찾아온다. 어머니가 남겨놓은 문학적 유산,그 유산을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그 안에서, 우리가 보존해야 하는 삶의 행복을 어떻게 이어나갈 것인지,문학으로 이어나가야 하는지, 살펴 보곤 한다. 평범한 일상이기에 누군가 세심하게 살펴보지 않는 이상, 우리의 일상를 박완서 작가의 따스한 시선에 담아내고, 새롭게 해석됨으로서, 후대에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문학의 힘을 느꼈다.2022년 고인이 된 이어령 자강와 그의 아내 강인숙 영인문학관 관장, 작가 호원숙은 어머니 박완서의 《문학사상 》 에 연재되었던 《도시의 흉년》 의 원고를 소장하고 있는 영인문학관에 대한 애틋함과 그리움이 곳곳에 묻어나고 있었으며, 어머니 박완서에 대한 존경심과 배려가 묻어나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