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에 대해 우리가 잘 모르던 이야기
이종범 지음 / 아마존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다음으로 출간될 제2권 <기독교 교회의 길고 딘 죄악사> 에서는 예수 사망 이후 수립된 교회, 특히 바울이 소아시아에 세운 교회들에서 이미 1세기부터 시작된 분열과 기만과 사기와 탐욕의 역사를 다룰 예정이다. (-7-)

분명히 예수는 뼛속까지 유대인이다. 성경에 따르면 그는 다윗의 후손이다. 그리고 태어난 지 8일 만에 유대교의 전통에 따라 포경수술도 받았다. 그의 삶의 터전은 유대인들이 모여 사는 갈릴리 지역의 나자렛이었다. 그리고 유대교 율법에 따르는 청년이 되어 예루살렘이서 유대인 성직자와 학자들과 갈등을 벌이다가 그들의 미움을 사서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를 따르던 제자들도 모조리 유대인이었다. (-38-)

그런데 왜 굳이 '애간장'이 끊어진다는 표현을 했을까? 그것은 바로 예수가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은 인간의 감정을 느끼는 마음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들에게 애간장이 끊어진다는 것은 마음이 아프다는 소리이다. (-82-)

기독교가 가장 강조하는 것은 사실 사랑보다는 부활이다.성경에 따르면 예수는 십자가 위에서 죽은 지 3일 만에 부활하여 지상에 머물다가 결국 '하늘'로 올라갔다. 이는 기독교 교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기에 모든 복음서에는 예수 부활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85-)

회개는 죄를 전재로 한다. 그 죄를 기독교에서는 흔히 원죄로 설명한다. 그러나 그 죄는 회개로 씻어지는 것이 아니다.그러므로 예수가 우리에게 요구한 회개는 원죄 의식을 가지고 반성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세상을 천국으로 만들지 못한 죄를 회개하라는 의미이다. 천국은 어디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여기 지금 존재하는 것이다. (-114-)

그런데 신은 예수에게만 침묵한 것이 아니라 예수의 죽음과 부활 이후에도 늘 인류에게 침묵했다. 그래서 이러한 긴 침묵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일이다.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 이 전쟁에 참여한 이들은 소련을 빼고는 모두 기독교 신자들이었다. 자기들끼리 살육을 하는 것도 모자라 야훼 신을 인간 역사 안에 드러낸 유대인마저 대량 살상을 해도 신은 침묵했다. (-145-)

이스카리옷 유다는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비난을 받는 인물이다.그러나 그는 죽는 순간까지 십이 사도에 속하는 예수의 정통 제자였다. 예수 자신도 그를 열두 사도에서 공식적으로 축출하지 않았다. 사실 그는 예수를 배신하기 전까지는 공동체의 자금관리도 하며 악령을 물리치는 일에도 참여하여 상당히 중요한 활동을 하는 사도였다. (-193-)

사실 배신으로 따지자면 자타가 공인하는 일등 제자인 베드로의 배신이 가장 충격적이지 않은가? 닭이 울기 전에, 곧 동이 트기도 전에 세번이나 예수를 부인한 그 잘난 제자 말이다. 그런데도 베드로는 오늘날 교회 안에서 가장 추앙받는 인물이 되고 단지 사법 당국에 예수를 밀고한 유다는 최악의 인물로 묘사된다. 이는 사실 예수가 결정한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교회 전통이 만들어 낸 신화이다. (-202-)

이런 식으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라는 이른바 '성삼위 신조'는 초대교회에서부터 세계 양식에 사용되어 왔다. <마태복음> 에 나온 것은 그런 초대교회의 관습을 예수의 이름으로 확정하려는 의도에서 첨부된 내용으로 보인다. 사실, 예수 자신은 요한에게 세레를 받았지만, 그 자신은 단 한 사람에게도 세례를 베푼 적이 없다. 그러면서 제자들에게는 세례를 베풀 것을 권유하였다. 무엇보다 예수 자신은 삼위일체론적인 발언을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다. (-274-)

성경을 읽으면, 예수그리스도 이야기, 마리아 막달레나, 유다 , 유대인, 부활,사랑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가톨릭 역대 교황 1대 베드로 이야기가 나오며, 최후의 만찬에 등장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성경은 여러가지 기독교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면서, 모순적인 이야기도 포함하고 있었다.

책 『예수에 대해 우리가 잘 모르던 이야기』은 그러한 모순을 짚어 나가고 있으며,교회의 타락과 위선은 왜 발생하는지 짚고 있다.전쟁의 역사를 보면,거의 대부분 종교 전쟁이다. 그중 기도교 전쟁이 문제였다.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하는 중동 전쟁도,지금도 여전히 아랍권과 이스라엘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수니파와 시아파의 전쟁은 여전하다.이 전쟁에는 세계의 패권을 쥐고 있는 미국이 있다.

성경에는 예수의 부활과 회계, 삼위일체론, 그리고 사라에 대해 말한다. 교회를 확장하며,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손종할 것을 장조한다. 그러나 왜 그래야 하는지 성경에서 말하지 않는다. 기독교의 본질은 사랑이 아닌,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이다.초기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기 위한 모임이었다. 지금 대한민국은 그 어느 나라보다 성경,친기독교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대형교회가 대한민국 사회와 정치를 지배한다.여기서 성경 속의 회개는 인간의 나약함 속에 숨어 있는 원죄에 대한 회개가 아닌 전세계를 천국의 나라로 만들지 못한 것에 대해서 회개하라는 것이다.예수그리스도의 부활의 유일한 증인이었던 마리아 막달레나는 예수 그리스도 가 하늘로 올라간 이후, 마리아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생과 삶에 대해 마리아 막달레나 이야기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유다는 예수 그리스도를 배신한 제자로 낙인 찍히고 만다.기독교가 추앙하는 가톨릭 1대 교황 베드로가 실제적인 배신자다. 이러한 모순이 교회의 타락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분열과 기만과 사기와 탐욕의 역사로 이어진다.인간 사회에서,기독교가 안고 있는 사회적 문제점과 결부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