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루시블
제임스 롤린스 지음, 황성연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4월
평점 :

앞쪽에서 먹구름 같은 연기로 키가 큰 한 사람이 결의에 찬 모습을 한 채 걸어왔다. 그의 로브는 진홍색이었고, 눈가리개는 검은색이었다. 그가 바로 종파의 교주였다. 알론소는 종교 재판소 내부에 생겨난 종파에 대한 소문을 들은 적이 있었다. 오래전에 죽은 토르케마다처럼, 피를 향한 충동에 집착하는 자들이었다. (-40-)
마라에게 장학금을 주고 삶을 영원히 바꿔 놓은 브루샤스의 다섯 여자는 모두 그녀의 가슴속에 특별한 자리를 차지했다. 엄격한 게르만식 실용성을 보여 준 하나 페스트 박사, 부드러운 매너를 가진 사토 교수, 솔직하고 대담한 유머 감각의 소유자 루이스 박사, 그리고 마라와 같은 국적을 가진 친구이자 고해 신부 역할을 해 준 코임브라 대학교 조아니나 도서관의 관장 엘리자 게하까지, 마라는 그녀와 수많은 시간을 함깨 보냈다. (-228-)
그의 눈은 뇌전도 장치의 전극볼 뭉치를 숨기고 있는 병원용 머리 덮개에서 그녀의 두피로, 그다음에는 전선을 따라 모니터로 향했다. 모니터 화면에는 꼬불꼬불한 선들이 있었고,그녀 신경 활동의 리히터 규모를 보여 주었다. 그랜트 박사가 표시된 숫자들을 훑어 보더니 화면 위의 선 하나에다 손가락을 가져다 대고서는 동료에게 중얼거렸다. (-334-)
제이슨이 설명했다.
그 실험의 가정에 따르면 , 초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은 틀림없이 나타날 것이고, 뭐든지 할 수 있는 신과 같은 지능으로 발존하게 돼 있어, 이 새로운 인공 지능 신의 주된 원동력 중 하나는 완벽을 추구하고 , 끊임없이 자신을 개선하고, 주변 환경을 개선해 나가는 거야. (-428-)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은 이미 죽었다.
프랑스로 날아가는 도안 멍크는 캣의상태에 대해 전해들었다. 그에게는 더 이상 속지 않을 만큼, 헛된 희망을 품지 않을만큼의 충분한 의학 지식이 있었다. 하지만 리사는 그가 돌아롤 때까지 캣을 기계에 의지한 채 그대로 두자고 제안했다. (-515-)
머리를 식힐 겸 몸을 수그려서 하드 드라이브에 부착된 <바이오뱅크>,<칸트 철학 및 윤리학>,<세계사>,<기호학> 과 같은 여러 라벨을 살펴보았다. 한 드라이브에는 <위키디피아> 라는 라벨만 붙어 있었다. 따로 설명이 필요 없었다.
계속 이브를 교육하고 있군. 그가 몸을 곧추세우며 말했다. (-656-)
놈들 뒤로 발야가 문을 통해 들어왔다. 그녀의 모피 코트는 앞쪽이 열린 채 휘날렸다. 한쪽 손에는 철제 손도끼를 들고 있었다.
세이챈의 숨쇠가 날카로워졌고, 눈은 가느다랗게 변했다. 그녀는 시선을 발야에게 고정해다, 그 얼음처럼 파란 눈은 해리엇을 잠깐 쳐다 본 뒤 그 다음으로 세이챈을 향했다. (-756-)
미안해 ,입,. 하지만 너의 말은 결승선 부근에서 실패했어.
그의 머리 안에 있는 유령은 조용해졌지만 ,그는 뇌 안에서 압박을 느꼈다. 맥박이 고동칠 때마다 편두통이 일엇다. 심장 박동은 시간이 흐르고 있음을, 검은 천사가 세상에 풀려나는 순간을 알리는 카운트다운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861-)
어떤 목소리가 그녀를 채웠다. 그것은 완벽한 조화를 이룬 음악이자 언어였다. 바로 내뱉을 수 있는 말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무언가였다.그것은 그녀가 지금껏 경험한 모든 것을 뛰어넘는 것이엇고, 단순 명료한 지식 그 자체 , 그리고 확실성이었다. (-899-)
인간은 호모네안데르탈인에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하였가고 한다.그것은 인간이 동물이 가진 생물학적 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전지구를 지배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을 갖추었다는 걸 의미했다.이후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는 호모데우스가 되려는 꿈을 가지고 있다. 호모데우스란 인간이 신의 영역에 도전한다는 의미로서, 유발하라리가 처음 쓴 단어이다.
소설 『크루시블』은 인간이 호모데우스가 되기까지,그 여정을 따라가 보고 있었다. 천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잇느 20대 과학자 마라에 의해서, 인공지능 제네스가 가동되었고, 인공지능은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를 넘어서서, ASI((ASI·Artificial Super Intelligence) 단게로 접어들어가고 있었다. 실제로 챗 gpt는 자연스러운 대화혀 언어를 쓰고 있으며,인간의 뇌를 뛰어넘는 빅데이터를 가지고 있다.하지만 아직은 초인공지능으로 다가가고 있지 못하다.인간의 자아, 지능, 감정과 느낌에 대한 생물학적 기능을 아직은 밝혀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 제임스 롤린스의 『크루시블』을 읽으면,인간는 얼마든지 초인공지능 시대를 맍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안간사회는 급격한 사회변화를 야기하며,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구현되어야 한다는 걸 깨닫게 된다.인간의 뇌의 구조에 대한 신비로움 마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즉 인간의 인공지능 제네스가 발명되었고,그것이 악의 근원으로 나타나게 되면,새로운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소설에서 제네스에 의한 인공지능을 대체할 또다른 인공지능이 필요했다. 악을 뛰어넘는 선을 추구하는 인공지능이 있어야, 인간이 꿈꾸는 이상적인 선함을 추구하는 미래를 구현할 수 있다. 인간은 현재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정교한 인공지능 기술을 만들어 나가고 있지만, 현실은 더 이상 인공지능이 인간을 파괴하고,인류를 파괴할 여지가 충분하다. 어떤 기술이 등장하면,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는 걸 다시금 깨닫게 된다. 새로운 미래, 터미네이터 1에서 보았던 인공지능은 인간적이었다.하지만 터미네이터 2,3으로 갈수록 정교한 인공지능이 나타나고, 그것은 파괴적이면서, 강력한 힘과, 파괴력,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 소설에서, 특이점으로 나타나는 인공지능 또한 그러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