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의 구조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야마다 아쓰오 지음, 양지영 옮김, 차재명 감수 / 성안당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강에 부쩍 관심이 많아지면서, 내 몸의 소화기의 구조가 궁금해졌다. 지인이 어느날 갑자기 기침을 자주 하였고,외숙모는 폐렴에 걸려서 세상을 등졌다. 어떤 이는 췌장암에 걸려서, 항암치료를 받고 있다.하루하루 삼시세끼 먹고 있지만, 그것이 어떻게 소화되고, 영양소가 되는지, 인간이 먹는 음식들이나 먹거리들이 어떻게 내몸에서 흡수되는지 이해한다면, 내 몸을 소중히 다루고, 조심스럽게 다가가며, 아낄 것 같았다.






복막은 내 몸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도록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소화관,신장, 방광, 췌장, 난소와 자궁이 여기에 해장되고, 과한 운동을 할 때, 그것이 내 몸을 해치지 않도록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다. 어떤 갑작스러운 사고가 생겨서, 복막에 이상이 생긴다면, 응급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입은 음식이 들어오는 입구이다. 영양소가 들어오기도 하고, 알코올이 들어가기도 한다. 내 몸에서 알콜이 분해되지 않는다면, 작은 술 한잔에도 , 내 몸이 망가질 수 있다.사람들이 내 주량을 정확하게 알고, 직장생활에서,주량에 맞게 술을 마셔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덩치가 산만해도, 술이 약한 사람이 있다.그들은 알콜해독 능력이 선천적으로 약하기 때문에,술을 권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입 안에는 치아가 있고, 치아에 의해서, 음식을 잘게 부수는 저작기능이 있으며, 음식을 소화잘하도록 돕고 있다..








내 몸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 위의 구조와 십이지자의 역할, 마지막으로 대장의 기능까지 나온다. 위는 신축성이 풍부한 주머니이다. 위암이 발생하거나, 간암이 발생할 때,어느 정도장기의 일부분을 절개 하여,종양이 암으로 퍼지지 않게 하더라도, 생명에 큰 지장이 없는 이유도, 위가 가지고 있는 특수한 신축성 덕분이다. 위에는 위산이 분비가 되며, 음식을 과하게 먹으면, 위산 분비가 생겨남으로서,위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인간이 오래살기 위해서 소식을 하고, 식사 시간에 꼭꼭 씹어서 먹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장의 경우, 우리가 변을 잘 나오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변비나 설사가 생기거나 피가 나올 때, 대장이나 주변 장기에 이상이 생긴 경우로 추정하기 때문에,즉각 병원에 가서 원인을 확인한 뒤 상담 후 치료를 즉각 받아야 한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라고 하였다. 즉 우리는 건강할 때는 내 몸의 장기,소화기관의 기능에 대해서 신경쓰지 않는다. 어떤 질병에 의해서, 장기에 이상이 생길 때, 평소 즐겨 먹었던 음식을 갑자기 먹을 수 없는 상황에 놓여질 수 있다.그럴 때,내 몸 건강의 소중함을 몸으로 느끼게 되며,『소화기의 구조』 을 읽어야 하는 이유,목적이 분명하다.



* 책을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