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걱정돼 - 바다를 위협하는 7가지 특서 어린이교양 1
조미형 지음, 김수연 그림 / 특서주니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레기는 파도와 햇빛, 바람에 떠돌면서 잘게 부서지고 물이끼가 새겨요. 그러면 냄새로 먹이 사냥을 하는 바닷새들은 쓰레기를 먹이로 착각해 삼키거나 새끼에게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기도 해요. 어미 새와 새끼 새가 죽어가고 바닷새 둥지가 비어가는 이유도 바다를 떠도는 쓰레기 때문이에요. (-50-)

산호 조각에 다라붙어 있는 미세 조류와 남세균을 청소하는 과정이에요. 레아와 로먼은 아바가 일하는 모습을 지켜봤어요 많이 봐 왔던 과정이지만 직접 하는 것은 오늘이 처음이에요. (-72-)

촘촘한 이발은 딱딱한 산호초를 부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강해요.이빨은 계속 자라기 때문에 닳지도 않안요. 파랑비늘돔은 산호에 붙어 사는 미세 조류와 남세균을 이발로 긁어 먹어요. 산호는 파랑비늘돔 때문에 균이 없어져 건강해지지요.

파랑비늘돔은 먹이 섭취과저에서 갉아 먹은 산호초를 모래 형태로 배설해요.따라서 산호초 주변의 투명한 모래는 파랑하늘돔이 만든 것이에요. (-87-)

지구는 육지생테계와 바다 생테계로 구분한다. 인간은 육지를 기반으로 살아오고 있으며,고래나 상어,악어는 바다를 자신의 생활반경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욕망은 바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야생 해양동물을 거대한 수족관에 옮겨서, 해양동물의 야생성을 잃어버리는 문제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야생은 야생 그대로 살아가도록 하여야 하며, 육지 생명체는 육지 그대로의 삶을 유지 보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구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저 8000M 고사지대에 있는 히말라야 산 꼭대기에도 쓰레기가 있으며, 바닷가 심해 마리아나 해구에도 인간이 바린 쓰레기가 존재한다. 플라스틱 같은 화학제품에 의해 만들어진 쓰레기는 지구를 황폐하게 만들어 놓고 있으며,인간이 개입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우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수명을 다하면, 바다로 투척하여, 폐기된다. 실제로 가까운 곳에 있는 호숫가 물이 녹색으로 변한 것을 보면서 충격을 먹은 바 있다. 어릴 적 손으로 씻고, 발을 직접 담궜던 그 물에 발을 담그는 것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황경오염의 실체적인 모습을 물과 호수,바다 해양에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으며,기후 문제, 온난화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바다를 위협하는 7가지로, 기름, 쓰레기, 선크림, 낡은 어구, 폐수,기후 변화, 해저 개발이 있다. 인간에 의해 바다가 오염되고 있다는 결정적인 반증이며, 자신의 쓰레기는 스스로 처리해야 한다는 대원칙을 쓰레기 처리 문화로 만들어 나갈 때이다. 폐어구는 어촌에서, 어부들의 경제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물고기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기름의 경우, 바닷가 유조선이 침몰하여, 바다 전체를 급속도로 오염시킨 바 있으며, 기름에 찌들어 있는 괘이 갈매기는 인간의 잔인한 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말한다.

선크림도 마찬가지다.자외선 차단제로 널리 쓰이는 선크림은 바닷가 산호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깨끗한 바다의 아름다움이 빛을 잃어가고 있었다. 특히 산호는 바닷가 물고기들의 서식처이면서,해양생테계가 살아남을 수 있는 중요한 장소이면서,공간이기도 하다. 인간에게 공기가 없으면 살수 없는 것처럼 물로기들에게 산호가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끔찍한 일이다. 인간이자신의 피부를 보호한다는 이유로 ,편리하다는 이유로, 자외선을 차단한다는 목적으로 선크림을 바르는 행위에서 벗어나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