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가지 동물로 읽는 세계사 - 티라노사우루스부터 북극곰까지 인류와 공생한 동물들의 이야기,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사이먼 반즈 지음, 오수원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벼룩은 곤충이다.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벼룩 역시 네 단계의 생명 과정을 거친다. 일단 알, 유충의 단계를 보자.벼룩의 유충은 아주 작고 벌레같이 생겼으며 건조한 피부의 각질과 분변을 먹이로 삼는다. (-52-)

우리는 상어를 두려워한다. 상어는 지구상 다른 어떤 동물보다 공포스러운 존재다. 상어는 심해에서 솟구쳐 나와 인간을 죽인다. 인간이 바다에서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을 때, 돌연 나타나 인간을 잡아먹는다. 그래서 상어의 공격은 끔찍하다. (-109-)

모기는 절묘한 아름다움을 갖춘 존재다. 특히 암컷의 입 부분이 기가 막히다.앞으로 녀석에게 물릴 일이 생기면 암컷 모기를 지켜보라. 감탄이 절로 나온다. 이 곤충이 당신의 몸에서 생명을 빨아들이는 모습을 들여다보며 이렇게 말해보라."경이로운 피조물이여,너와 이 지구를 공유하게 되어 영광이다. 너를 만든 힘이 또한 나를 만들었다. 네가 알을 낳고 생명을 채우며 다음 세대 모기를 얻게 해줄 피를 모으는 모습을 보니 감탄을 금할 수 없구나." (-170-)

포유류의 옛 조상들은 물을 떠나 육상에 살게 되었지만 이들에게 진화의 패턴은 전혀 없다. 그저 물을 떠날 좋은 기회를 우연히 얻었다는 것이 유일한 공통점이다. 결국 돌고래의 조상, 즉 발굽이 있는 초식 포유류는 거의 5,000만 년 전 다시 물로 돌아가 반수생동물로 살기 시작했다. 고래 및 돌고래와 가장 가까운 육상동물로는 하마 두 종이 있다. 이들은 여전히 반수생이다. 그러나 돌고래는 수생이다. (-276-)

앨버트로스는 수명이 긴 조류다. 장수는 앨버트로스가 살아가는 전략이다.이들은 까불거리는 참새는 이해할 수 없을 만큼 한가한 속도로 움직인다. 앨버트로스 한쌍은 1년에 10여 마리릐 새끼를 낳아 기른다. 앨버트로스가 살아가는 속도는 수명이 길지 않고는 효력이 없다. 자신의 수명보다 빨리 죽는 일이 계속되면 앨버트로스가 살아가는 방식과 개체 수는 유지할 수 없다. (-316-)

까마귀는 똑똑하고 잡식성이며 이러한 특성 덕분에 많은 종이 인간의 거주지에 적응할 수 있었다. 인간과 상관없이 자기 방식대로 사는 동물이라도 인간은 그런 동물이 가까이 살 때 마냥 편안하지는 않다. (-446-)

염소는 인류가 가장 초창기 시절부터 길들인 동물 중 하나다. 1만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염소는 인류에게 고기와 젖과 가죽과 털을 제공했다. 인간은 염소젖으로 치즈를 만들었고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했다. 염소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준 동물이다. 그러나 우리는 신을 섬기지 않는 사람을 염소와 동일시하고 고결한 사람은 양과 동일시한다. 이 핵심적 진리가 『성경』 에 명시되어 있다. (-536-)

린네는 대왕오징어에 양가적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735년 『자연의 체계 』 초판본에 대왕오징어를 포함시키고 미크로코스무스라는 학명을 붙였지만 후속 판본에서는 이를 삭제했다. 아마도 사실과 신화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바꾼 듯하다. (-629-)

우리에게 익숙한 십이지지가 있다. 여기서 십이지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에 해당되며, 동물로 치면,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원숭이, 닭, 개,돼지에 해당된다. 여기서 놓칠 수 없는 것,동물과 인간에 대한 이해다. 창백한 푸른 점이라 일컬었던 푸른 점 지구에서, 인간이 지구의 지배자인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동물은 인류의 역사를 바꾸었고, 인류의 진화와 진보를 꽤하고 있다. 인간은 포유류의 한 종 임에도, 여타 포유류와 차별화하려고 한다. 돌고래, 고래,고릴라와 같은 종임에도 그 동물들과 다른 시선으로 읽고 있기 때문이다.

책 『100가지 동물로 읽는 세계사』은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에 대해서 객관화하고 있었다. 특히 까마귀,까치, 돼지에 대해서, 선입견, 편견이 크다. 모기 하면 인간을 위협하는 말라리아를 연상하고, 백로와 고릴라, 당나귀, 호랑이를 바라볼 때, 연상하는 바가 있다. 화석으로 남아있었고, 영국의 자연사박물관이 있는 시조새, 까치 하면 은헤갚은 동물로 기럭되었고, 인간은 신에 대해서, 종교와 동물을 서로 엮어 나갔다. 한반도의 역사에서, 단군신화가 등장하고, 곰과 호랑이 신화가 등장하게 된다. 중국 하면 떠오르는 동물 판다가 있으며, 판다가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멸종되지 않고,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을 묻는다. 책에는 우리에게 낯선 동물 사올라가 있다. J.K.롤링의 신비한 동물 사전 』에 나오며, 영양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베트남 카투족 사냥꾼이 들고 있는 노획물, 사올라의 두개골과 뿔이 매우 인상적으로 남아 있다. 이 책의 시작은 사자가 나오고 있으며, 이 책의 마지막은 북극곰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 얼음이 녹고 있으며, 그로 인해 북극곰은 바다에서 탈진하여 죽는 경우가 왕왕 있다. 지구의 환경문제, 온난화, 쓰레기 문제에 직결되고 있는 북극곰의 멸종이 어느 덧 현실이 되고 있으며, 이제 역사속의 동물로 남을 가능서이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