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라면 프랙티스하라! - 미래를 바꾸는 리더십 훈련
지현석 지음 / 북소울 / 2023년 2월
평점 :




프랙티스는 성품과 행동을 다루어 성과를 내는 리더십 훈련과정이다. (-5-)
사람에 대한 관심을 일의 성과(결과) 보다 우선으로 여긴다.
사람의 성품(내면)을 보는 노하우를 배워 업무에 적용한다.
사람의 정체성과 일상적 업무을 연결하여 이해한다.
시람을 연결할 때는 내면에 대한 이해를 바타으로 한다.
사람을 채용하는 프로세스는 성품을 기준으로 한다.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기대 행동 가이드라인으로 표현한다.
사람의 성품, 강점, 내면을 기반으로 팀을 구축한다.
사람들에게 상호 간의 성과를 점검하는 책임감을 부여한다.
리더십 프랙티스를 실천하여 동료 리더를 양성한다. (-21-)
우리는 순록 스테이크를 파는 레스토랑과 경쟁자가 아니라 친구입니다.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한 결과물을 접시 위에 올리려는 목적으로 이 자리에 있기 때문입니다. (-65-)
나도 미션을 정하기 위해서 지난 삶의 스토리를 글로 적었다.그동안 직업적 셩험, 만났던 사람들 그리고 영향을 받은 서적과 인물들을 떠올리면서 그것이 나에게 의미하는 바를 정리했다. 그러다 내가 어떤 동기로 그런 경험을 했는지 공통점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래서 결론을 얻었다. 나는 무슨 일을 하든지 사람들의 존재 가치를 알아주고, 그들의 잠재력을 파악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이를 통해 나와 관계되는 사람들이 현재 상태보다 더 큰 성공을 얻고 삶을 값지게 살기 바란다는 것을.. (-97-)
『훌라크라시』 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슈를 거버넌스에서 다룰 수 있다고 제시한다.
역할의 책무,권한, 보상에 대한 논의
역할 혼선을 해결하고자 하는 논의
새로운 역할을 만드는 것에 대한 논의
필요 없는 역할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논의
전사적으로 반복되는 긴장에 대한 처리
일에 비효울성을 만드는 긴장에 대한 처리
조직이 창출하는 가치와 성과에 관한 논의
조직의 장기적 미션, 비전, 핵심 가치에 관한 논의
조직의 단기적인 성과와 목표에 관한 논의
조직의 재무 상황에 관한 공유 및 논의 (-149-)
어떤 환경에서 나의 생산성이 향상되는가?
어떤 환경에서 조직의 생산성이 향상되는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어느 부분에 투자가 필요한가?
개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성원 관리 기법은?
그리고 이것이 조직의 문화로 정착이 되어있는가? (-206-)
우리 주변에는 작고 사소한 기쁨이 늘 존재한다. 이런 기쁨들을 놓친다면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을 놓치는 것이다. 우리 주변의 놓치기 쉬운 기쁨은 무엇인가?
바로 나와 함께하는 사람이다. (-227-)
책 『리더라면 프랙티스하라!』을 쓴 저자 지현석은 한국코치협회리더십 코치(ACC, KAC) 이며, 국제코치연맹 인증 코치로서, 국제개발분야 성과관리 전문가다. 이 책에는 리더에게 필요한 질문을 훈련으로 연결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리다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리더십의 구성 조건은 무엇이며, 리더십을 만들기 위해서,조직의 핵심가치,비전, 미션,경영철학까지, 주어진 것에 쵷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를 물어보고자 하였다.
리더는 어려운 위치다. 얼마전 끝났던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예선 두 번째 게임 가나 전에서 벤투 감독이 보여주었던 리더십은 리더가 어떤 존재여야 하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그는 후반전 마지막 추가 시간 10분의 시간에서, 불공정한 상황에 대해, 선수를 대신하여, 강력한 항의로서 어필을 하였다. 선수가 퇴장당할 수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벤투가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다하였고, 한국은 마지막 경기에서, 16강에 진출할 수 있는 행운을 얻을 수 있었다. 파울로 벤투에게 프랙티스란 자신에게 주어진 미션과 책임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었다. 조직 구성원 전체가 해야 하는 성과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즉 16강이라는 미션을 무사히 보여줌으로서, 벤투의 리더십은 빛을 발할 수 있었다. 리더에게 필요한 프랙티스, 훈련, 연습이란, 존직의 목표와 미션, 성과를 정확하게 만들고, 청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그리고 거버넌스를 통해 조직 내의 구성원 간에 다양한 의견에서,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상황에 대한 이해,그리고 자신의 역할을 병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리더에게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십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책임과 희생이 뒤따르지 않는 리더는 의미가없다.형식에 불과한 리더가 아닌 내면에 충실한 리더, 조직에 대한 이해가 명확하고, 조직 구성원이 화합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주어야 한다.신뢰와 희생으로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 세심함과 디테일이 리더에게 요구되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