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흥의 교육 - 이재영이 묻고, 장순흥이 답하다 푸른들녘 교육폴더 13
장순흥.이재영 지음 / 푸른들녘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티칭 전성시대에서 러닝 전성시대로 확 바뀌어야 합니다. 보세요.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하고 있지 않습니까? 지식과 역량을 체계화할 틈이 없을 만큼의 빠른 변화를 자각하면 변화는 쉽습니다. (-10-)

에꼴 42는 일종의 '새교육발명'입니다. 그런데 그 발명의 기법 중에 "중요한 것을 제거하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뭐냐 하면, 교육에서 가장 중시되어오던 선생을 제거한 것입니다. 참 엉뚱하고 기발하죠? 그런데 그게 되더라는 겁니다. 에꼴 42는 학원이었으니까 입학 시험을 치를 때 고교 졸업장 같은 것도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문제를 주고 주어진 시간 안에 풀수 있는가만 봅니다. 그리고 문제를 푸는 방법도 인터넷을 뒤져서 풀든 남에게 물어봐서 풀든 제한이 없었습니다. 그저 독학 능력과 협업 능력을 본 겁니다. 우리 나라 말로 소위 '일머리'가 있는가를 본 것입니다. (-34-)

정주영 회장은 신문만을 읽으며 공부를 했다고 했을 정도로 독학 능력이 남달랐던 분입니다. 저는 이런 분들에게 주목해요. 이들은 학교 교육 밖에서 어떻게 세사을 바꾸는 일을 했을까, 하면서 말입니다. 에디슨의 전기, 포드의 자동차, 하비 파이어스톤(Harvey Samuel Firestone, 1868~1938) 의 타이어, 정주영의 조선, 이런 것들이 저마다 품고 있었던 문제들의 씨앗들이었고, 이들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공부하고 문제를 풀기 위해 동지를 모았던 사람들입니다. 학력으로 으스댈 것은 애당초 없는 사람들이죠. 왕립아카데미에서 제복을 입고 멋진 강연을 하는 학자들과 천 번 만 번 실험하며 밤을 지새웠던 이들이 매우 대조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문제만 다를 뿐 문제를 품고 문제를 풀려고 일생을 헌신한 사람들이란 점은 같습니다. (-47-)

전 항상 의문을 갖고 시작해요.예를 들어 문명살르 공부하겠다고 마음먹으면 일단 책을 여러 권 사다 놓고 읽거나 좋은 강연을 들을 것 같지만 저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저는 우선 질문을 던집니다.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노력해요. 혼자 생각도 하고, 남의 말을 듣다가 전혀 연관 없어 보이는 것에서 통찰을 얻기도 합니다. 어떤 사람들이 세상을 바꾸었는가 생각하면서 가만히 살펴보면 문화적인 것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문명적 차원에서는 이해가 갑니다. 문명적으로 세상이 많입 바뀐 건 19세기 말입니다. 오늘날 세계 초강대국이라는 미국도 처음에는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가진 것 하나 없이 건너온 청교도들이 세운 나라죠. 정착 초기엔 인디언들에게 도움을 받아야 겨우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던 그런 사람들이 모인 이주사회였는데, 점점 자라서 1776년에 독립을 선언하고, 1894년에는 선진국이 되었습니다. (-48-)

성문영어, 맨투맨, 수학정석을 배우며 국영수를 준비했던 시절이 있었다. 배움에 대해서 갈망하였고, 문맹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한민국은 스스로 교유에 대한 열망은 커져가게 된다. 과거에는 4년제 대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나, 이제는 어떤 대학을 갔느냐가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부모들은 내 아이가 다른 이들에게 업신여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발품을 팔아서, 손품을 팔아서,학교에 보내고자 하였다.사회 변화로 인해, 문맹률 10퍼센트 이하로 떨어지는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각지역마다 문예학교를 세워서, 배우지 못한 이들에게 학교를 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 사회는 바뀌고, 바뀌어야 한다.과거에는 교사, 선생님, 교수에 의한 티칭이다. 수동적인 배움과 암기 위주의 교육을 추구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일머리를 더 중시하며, 협력과 인성에 대해서 키워 나가는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그것에 대해서,이해하기 위해, 『장순흥의 교육』을 읽어야 하는 당위성이다.어떤 변화를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고, 원칙, 절차,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교육의 지도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책에는 에꼴 42 가 소개되고 있는데,이 교육의 특징은 티칭이 아닌, 러닝 교육에 있었다. 즉 교사, 선생님,지도자를 빼는 교육을 진행한다. 소위 배우려는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서, 러닝(Learning)를 진행하고 있었다. 무학이라도, 제대로 일할 줄 아는 일머릴르 가진 이들을 우선한다. 중퇴라도 일머리, 협력을 우선하고 있다.

티칭은 정답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러닝(Learning) 은 배움을 먼저 생각하고,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 하나하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소하나하나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며, 『장순흥의 교육』에서는 21세기형 미래 교육에 대한 힌트와 원칙을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