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상담실 바다로 간 달팽이 23
박현숙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억울해서 죽을 거 같다. 나는 내 명예를 걸고 말하는데 소라 스커트가 날리려고 해서 잡아 주려고 했을 뿐이야.가만 보고 있을 수는 없잖아. 스커트가 확 날리는데 성호 너라면 가만히 보고만 있었겠니?"

"당연히 가만 보고 있으면 안 되지. 여친 스커트가 날리는데 가만있으면 이상한 놈이지. 좋아. 나는 내 친구 오신우,너를 믿는다. 믿어!" (-39-)

금방 전화가 왔다.

"너 상담실에 갔다면서? 너 미쳤니? 거긴 왜 간 거야?"

잠시 혼란이 왔다. 상담실에 간 게 미친 건가?그리고 내가 상담실에 간 건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알았을까. 그날 내가 상담 선생님을 따라간 걸 소라는 보지 못했을 텐데 말이다. (-107-)

"내가 너를 좋아하는 이유는 단 하나.착하기 때문이야. 정직이라는 단어, 웃기지만 네가 정직한 아이라서 좋아했다고. 나 때문에 공연히 운동장에 갔다가 폭행 사건을 보게 한 게 미안했어. 그리고 네가 얼마나 두려움, 양심과 싸우고 있을지 걱정도 되고 말이야. 그날 너한테 전화해도 안 받고 문자 해도 답이 없어서 늦게 운동장에 가려고 나왔거든.학교에 거의 다 와 갈 무렵 네가 뛰억다더라고. 뭐에 놀란 거처럼. 불러도 못 알아듣고 전속력으로 달려가더라. 학교에서 귀신리라도 본 줄 알았어. 그리고 잠시 후에 나찬이가 학교 쪽에서 나오고 그 뒤로 김나성이 절뚝거리며 오더라고. 대충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았지. 착한 네 마음이 어떨지 상상해 봤어. 무서워서 함부로 진실을 밝힐 수는 없고 그렇다고 말하지 않을수도 없고 엄청나게 갈등하고 있을 거 같더라고. 그래서 그랬던 거다. 네가 나선다면 나도 힘을 합하려고 운동장 타령을 했던 거다. 네가 양심에 찔리는 거짓말쟁이가 되는 게 싫어서 . 알았냐? 하긴 머리 나쁜 네가 어떻게 알겠냐? 아니지, 쓸데 없는 쪽으로는 머리 겁나 좋아요. 김나성과 계획을 짜? 아휴., 환장하겠네." (-255-)

나는 작가 박현숙의 전작주의자다. 작가의 저서는 거의 다 읽은 바 있다. 구미호 식당에 이어서, 이번에 소개되는 청소년 소설 「1등급 상담실」 이다. 수많은 이름을 나두고 왜 1등급 상담실이라고 지은걸까, 추론해 본다면, 우리 사회의 1위 만능주의가 존재하고 있어서다 . 9등급에서, 2등급에서 ,9등급까지는 1등급 학생를 위해 존재한다. 학교 교내에서, 1등급 학생과 나머지로 구분하는 것이 통상적인 현실, 학력지상주의의 상식으로 보고 있다. 그러한 현실에서, 착한 것은 그 아이의 장점이 아닌 약점이 될 수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오신우는 착한 아이였다. 오신우의 여자친구 소라가 있었으며, 신우는 중고에서, 구매한 붉은 신발에 대해서, 누군가 부르는데로 사겠다는 제안을 받게 된다. 착한 아이에게는 이러한 달콤한 제안은 유혹이 될 수 있다. 착하다는 것이 결정장애,선택장애로 이어지는 이유, 내면 속 소심함, 나약함이, 누군가에게 들킬까봐 선택한 것이 철저히 착해지는 것이었다. 착함이 생존도구가 된 것이다. 그래서, 신우는 우연히 본 폭행 장면으로 인해 매순간 힘들어한다. 즉 스스로 착함이 자신의 삶을 갉아 먹는다는 걸 보여주고 있었으멱,그것을 상담을 통해서, 풀고자 하였다. 즉 1등급 상담실은 우리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상담실이었다. 상담 선생님은 마치 나성이 안고 있는 두려움이 무엇인지 손바닥 위에 놓고 있는 것 같았다. 그것을 모르고 있는 순간순간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나의 선택과 판단에 대해서, 자기 확신이 부족하다. 착한 아이가 정직하지 못하고, 스스로 결정 장애,저장강박증에 시달리는 이유, 때로는 착함보다 이기적인 착하지 않음이 자신의 내면 속 나약한 본성을 극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를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 안의 착함이 결코 나에게 생존 도구이며, 이로움이 될 순 없다는 걸 말하고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