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엄마를 위한 하루 5분 마음챙김 - 하루 중 온전한 나만의 시간
숀다 모럴리스 지음, 정미나 옮김 / 센시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트레스를 받고 , 항상 지쳐 있으며,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여유가 전혀 없다.

삶의 균형이 깨져 있다. 하루하루가 정신없이 너무 빨리 지나간다.

아이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보다 아이들에게 소리를 지르는 경우가 더 많다.

아이들과 함께 있을 때도 다른 일들을 생각하느라 정신이 다른 데 팔려 있다.

내가 부족한 엄마 같아 죄책감이 든다. (-9-)

막 걸음마를 하기 시작한 아드에게 옷을 입히느라 씨름을 하며 배변 훈련을 할 때 아이에게 주곤 했던 파란 초콜릿 한 알을 급히 주었다. 아들이 그 초콜릿을 막대사탕처럼 빨아먹는 바람에 아이의 손과 입과 셔츠로 밝은 파란색 침이 흘러내렸다. 그 순간 그렇게 선명한 색 초콜릿을 만들어 아이의 옷에 얼룩이 들게 한 사람은 분명 아이를 키워본 적이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들며 그 사람에게까지 욕이 나왔다. (-51-)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애롭게 가르칠 수 없다면 아이에게 교훈을 가르칠 생각도 하지 말아라. 화를 내고 벌하는 것은 결코 사랑에 따른 행동이 아니다. 언제든 양쪽 모두 수용적이고 긍정적일때 아이를 잘 가르칠 수 있다. -로라 마컴 박사- (-107-)

마음챙김을 꾸준히 수행하면 대체로 균형감과 온건함을 자연스럽게 유지하게 된다. 우리가 경로를 벗어나는 때는 잘 알면서도 자신을 위한 일이 무엇인지 의식하지 않거나, 내경우처럼 무시하려 할 때다. 하지만 마음챙김의 묘미는 매 순간이 다시 시작할 새로운 기회라는 데 있다. (-155-)

내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삶에 마음챙김을 불어넣을 때 따라오는 커다란 변화를 많은 엄마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다. 하지만 숨김없이 말하자면 나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했다. 이 책을 쓰면서 마음챙김을 통해 얻은 변화를 지속적으로 상기하려는 마음도 있었다. 나에게도 그런 자극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11-)

19세기만 해도, 아이를 키우는 것은 마을 공동체의 몫이었다.이웃 아이가 홀로 있으면, 챙겨주고,돌보고, 기다려주며, 위험에 벗어나도록 했다. 사회가 고도화 전문화되면서, 마을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사회적 정서가 사라졌다.함께 아이를 돌보는 일이 소멸되었으며, 내 삶을 새롭게 검증해 나가기 시작한다. 즉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나를 돌아보고, 아이를 키우는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게 된다. 아이를 돌보는 것이 엄마의 몫이 되면서, 아이를 키울 때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들이 이어지게 된다. 내 아이에게 어떤 질병이 발생해도,누구에게 물어볼 길은 막히게 되고, 아이가 치료할 수 있는 때를 놓치게 된다. 회복할 기회를 놓침으로서, 엄마는 죄책감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 의험에 방치된 아이에 대한 대응매뉴얼이 사라진다.

자기연민,마음챙김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내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바꿔 나가는 것, 성장과 내 아이의 충동적인 행동과 태도를 바꿔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루 중 온전한 나만의 시간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바쁨 가운데,마음의 여유가 필요하다. 나만 생각하는 삶이 아닌, 내 아이를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고, 사랑으로 아이를 돌볼 수 있어야 한다. 내 아이에게 사랑과 소망과 믿음으로 다가가야 하는 이유다. 사랑과 소망과 믿음은 내 아이 뿐만 아니라 나에게도,엄마에게도 필요하다. 내 마음에 믿음과 사랑, 소망이 깃들 때, 내 아이에게 희망과 사랑, 행복이 나에게 주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