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수업 - 십대들이 알아야 할 교실 밖 세상 이야기
정선렬 지음 / 행북 / 2022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117/pimg_7300591133714062.jpg)
키오스크(kiosk) 시스템은 현대인의 삶 곳곳에 침투해 있다.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키오스크를 통해 음료나 음식의 주문, 대중교통 이용 티켓의 발권 또는 영화나 공연 티켓의 구입 등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키오스크를 처음 마주할 때 과연 이걸 어떻게 쓰나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반 키오스크 시스템에 익숙해진 후에 하면 매장 직원의 도움 없이도 곧잘 주문을 해낸다. (-13-)
MBTI 를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해보다.MBTI 자체는 개인의 성격 유형을 분석하는 도구다. 하지만 실제 사람의 성격은 사회의 영햐을 받아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사회적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다.
심리학자들은 선천적인 요소와 후천적인 요소 모두가 개인의 성격 결정에 영향을 끼친다고 말한다. (-40-)
세상 모은사람을 남자와 여자, 동양인과 서양인,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등 단순화된 잣대로 구분 지을 수 없듯 MBTI 16가지 유형 역시 우리를 완벽히 정의할 수 없다. 또 정의할 근거도 없다. (-47-)
한국 사회의 복잡한 예의 절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존댓말이다. 한국어에서 존댓말은 사용하는 단어, 상대방에 대한 존칭, 상황에 따른 돌려 말하기, 화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압존법, 나를 의도적으로 낮추기 등 복잡한 규칙에 따라 표현된다. 또 한국 사회에서 상대방이 나보다 '높다;의 기준은 사회적 지위, 계급, 연령, 성별 들에 따라 구체하되고 그에 따른 표현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 이런 사회에서 형성되는 존댓말 예절을 완벽하게 구사한다는 것은 한국 사회에게도 상당히 어렵다. (-53-)
높은 평가 점수를 받는다는 것은 앞으로 높은 학력 수준을 획득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평가 점수를 받은 학생일수록 사회에서 선호하는 의료 법학 상경 연구 교육 등 속칭 전문직 계통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우리가 '노력의 결과'라고 생각해 왔던 높은 성적과 학교 교육, 시험간의 연결고리에는 태어난 집단의 언어 코드, 지역의 문화, 에절을 중시하는 세계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67-)
뒤르켐은 사회 내에서 자살과 같은 일탈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가정에서 '규범'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규범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탈이 발생하며,규범의 부존재 상황은 급속한 사회변동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뒤르켐의 기본적인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사회에서 규범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을 '아노미(anomie)'라 불렀다. (-77-)
이제 '상징'이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지 살펴보자.상징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사람들 간에 특정 상황(혹은 살아가는 과정에서 마주치는 장면)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생각의 공유가 있어야 한다.그 공유된 생각을 기존에 있던 대상이나 새롭게 만들어낸 대상물에 불어 넣으면 원래의 대상물과 전혀 다른 새로운 의미를 가진 상징이 만들어지게 된다. (-114-)
점수화된 생활기록부는 자연스레 예측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대학이 구체적인 채점 기준과 생활기록부를 점수화하는 과정을 공개하지 않더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시 결과데이터가 축적된다.이를 통해 각 고등학교는 평가 기준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지를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학교는 나름대로 예측한 대학의 신입생 선발 평가 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137-)
힐링도서들의 공통점
지금 상태 그대로 있어도 좋다는 이야기를 반복한다.
2.문제에 직면한 경우 그 문제를 잠시 잊어도 좋다는 이야기가 들어 있다.
3.독자의 문제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겪어야 하는 문제라고 표현한다.
4.세상의 모든 문제는 굳건한 의지만 가지면 어제든 해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5.추상적인 위로나 구체적이지 않은 공감을 반복하면서 수체적인 사례에 적용하지 않는다.
6.젊은 독자층을 대상으로 하여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146-)
만약 왕따가 '다수가 소수를 사회적으로 따돌리는' 현상이 아닌 '다수가 사회적으로 약한 소수를 찾아내 이를 따돌리는' 현상이라면 왕따가 일어나는 현대 사회는 집단 구성원 간 호혜성을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 변화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다. 사람들 사이에 호혜성을 기대할 수 없다면 미래의 인간관계가 건강한 모습일 것으로 신뢰하디고 어려워진다. 약자를 먹잇감으로 선정하고 왕따를 자행하는 사람들의 태도 이면에는 상대방을 다시 만날 일이 없다는 무책임함과 보복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자리 잡고 있다. (-204-)
책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수업』은 현직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 정선렬님이 쓰신 책으로서, 정치,경제, 법,사회학을 두루 아우르고 있으며, 진실된 이유로 보건데 사회학이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교과서 속 사회 이야기를 파헤치고 있다. 특히 우리가 놓치고 있는 세상 속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사회현상에 대해서, 방치할 경우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예측해 볼 수 있다.
사회학에 대해 이해하는 대표적인 직업군이 정치인과 예산을 쓴 정부와 지자체 공무원,교육 공무원이 될 것이다. 사회의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사람의 생각과 인식을 바꾸고, 사회 인프라를 바꾸는 과정에서 예산이 쓰여지기 때문이다. 책에서 소개하는 대한민국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자살사건을 해결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대한민국 사회가 흡연이 만연한 사회에서, 금연사회로 바뀔 때도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무론 지금 대한민국 사회가 고민하고 있는 저출산 문제도 마찬가지다. 물질적인 풍요속에 정신적 빈곤이 반복되는 이유를 살펴 보아야 하는 사회화 과정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왕따, 수능, 교육 문제도 마찬가지다. 대한민국의 사회 현상은 한국 사회의 문화와 전통이 서로 연결되고 있다. 특히 각 지역별 사회현상을 해결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입시에 대해서 학력고사 에서, 수능으로 전환될때,사회학이 중요해진다. 그리고 한국 사회는 혈액형,MBTI 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그것이 서로의 성향에 대해 이해하고, 성격이나 기질을 이해하는 기준이 되고 있어서다.특히 사람들 사이에 기본적인 원칙과 절차가 필요하다. 십대들이 알아야 할 교실 밖 세상 이야기에서, 사회학, 사회구조,사회시스템을 바꾸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사회변화가 나타나고,때에 따라서 개혁이 발생할 수 있고,정책에 반영될 수도 있다. 물론 때에 따라서, 사회 현상에 대해서, 책으로 엮어 나가며, 어떤 사회 정책이 우리 삶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 그리고 사회는 항상 변하고, 종교도 변하고, 기술과 인간의 교육수준에 따라서,가변적인 성격을 지닌다. 20세기 사회는 21세기 현재의 사회와 큰 차이가 나는 이유를 보더라도,사회는 항상 변동성과 유연성,합리성, 이 세가지가 연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