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발밑에는 피렌체보다 화려한 부여가 있다
최경원 외 지음, 홍경수 엮음 / 북카라반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럼에도 사비 시대는 거의 120년을 지속하면서 전성기를 이루었으니, 결과만 보고 부정적으로 단정 짓기도 어렵다. 아무튼 왕궁 바로 뒤에 건설된 부소산성은 평상시에는 백제의 왕이나 귀족들이 아름다운 금강의 풍경을 즐기는 장소로도 많이 활용된 것 같다. 지금도 여기에는 사자루, 반월루, 영일루 등 금강의 아름다운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있다. 사자루 자리는 백제 시대에 송월대가 있던 곳이고, 부소산 동쪽에 영월대와 서쪽에 송월대가 백제 시대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34-)

부여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강이다. 바로 백마강이다. 이로써 부여는 화룡점정이 된다. 부여는 백마강의 도시다. 백마강이 부여고 부여가 백마강이다.암, 여부가 있겠습니까.

무릇 문명의 발상지 혹은 국가의 도읍자는 강을 끼고 있다.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문명이 그렇다. 부여 또한 백마강을 끼고 있어 백제의 왕도가 될 수 있었다. 강은 천혜의 방어 지세를 제공하고,주운 周運 과 용수 用水 의 근원을 이룬다. (-151-)

20대의 젊은 예술가가 규암에서 자리를 잡는 모습을 흐뭇하게 바라보는 북토이 정 대표의 모습이 흡사 새끼 품는 어미 닭처럼 느껴졌다. 다양한 이주민 그룹에서 가장 어른스럽게 규암의 구성원들을 연결하고 이어가는 역할을 맡은 123 사비협의체와 이를 이끌고 있는 정진희 대표.서로 돕고 의지하며 성장하는 공동체가 있는 한 마을은 지속가능하겠다 싶었다. (-221-)

부여 인구가 18만 명쯤 되었을 때가 있었다. 그때는 수박 농사도 잘되고 쟁반에 커피를 배달하는 다방도 많았고, 먹고 살 방편도 많은 시절이었다.지금은 인구가 6만 명으로 줄었고, 6만 명 중에 1만 명 이상은 외국인이 자리를 채우고 있다.

옹달샘붐식 사장님이 장터 앞에 솥을 걸고 콩을 삶기 시작했을 때가 부여에 사람이 가장 많이 살던 때라니, 벌써 30년이 지났다. (-321-)

마을 책방 마당 바라보며 멍 때리기

황포돛배 타고 백마강 구경하기

부소산성, 낙화암 가기

궁남지에서 오리 가족 구경하기

구드래 선착장 강변에서 노을 보기 (뷰가 미침)

로컬 극장 금성시네마에서 레트로하게 영화 보기

짱맛탱 도일통닭 먹기

궁남지 정자에 누워서 낮잠자지

히힛의 그림 클래스 참여하기 (월)

한솔의 요리 클래스 참여하기 (목)

부여 제철소에서 맛난 음식 먹기 (-407-)

책 『당신의 발밑에는 피렌체보다 화려한 부여가 있다』는 백제의 찬란한 유산이자,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 사비성, 부여로 떠나게 된다.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로서, 찬란한 문화재를 땅 속에 품고 있으며, 한때 18만이었던 부여군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가치,문화적 가치,역사적 가치 또한 알 수 있다. 책을 통해 부여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문화 유산과 백제의 숨결을 느낄 수 있어서 흥미롭고 설레인다. 부여에 있는 문화적 가치를 내가 사는 곳에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하과 교수 홍경수인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를 졸업한 최경원 님이 쓴 저서로서, 백마강과 금강을 끼고 있는 부여의 문화 가치를 이해할 수 있으며,관광이나, 독특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부여는 한민족의 근간이 되는 예맥족이 세운 나라다. 백제가 나당 연합국에 이해 멸망하고,의자왕과 삼천 궁녀가 백마강에 투신한 슬픈 역사가 감춰져 있다. 아름다움과 슬픔의 역사가 함께 하고 있는 그곳, 부여, 죽은 궁녀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세운 백마정이 있었다. 이 책에는 역사기행과 함께 문화기행을 함께 엿볼 수 있다. 한 때 18만 인구였던 삶의 여유가 풍부했던 부여는 지금 6만 인구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부여에 사는 주민들은 나름 부여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놓치지 않는다. 국립부여박물관이 있으며, 부소산성, 낙화암 궁남지에서, 백제왕이 즐겼던 영화로운 삶을 재현할 수도 있다. 도시재생사업으로 문화와 경제를 서로 엮어 나가고 있으며, 시인 신동엽이 1935년에서 1969년까지 살았던 신동엽 생가 (부여군 부여읍 신동엽길 12) 를 복원하고 있었다. 부여에는 나름 옛 것과 현재를 서로 연결하는 문화적 네트워크가 살아있다. 특히 '책방 세간 ' 박경아 대표는 부여의 장점과 강점을 문화로서, 적극 살리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으며,다양한 문화와 축제를 추진하면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를 하나하나 만들어나간다. 문화 인프라가 도시에 비해 부족하면 부족한데로 채워 나가며, 문화재생, 도시 재생, 역사재생을 나름 만들어 나가고 있어서,눈길을 끌 수 있았으며,책의 뒷부분에는 초보 여행자를 위한 맞춤형 여행 길잡이, 여행 체험이 소개되고 있어서, 부여를 부여답게 느낄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