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 쫌 아는 10대 - 왜 잘 읽고 잘 써야 하나요? 진로 쫌 아는 십대 3
박승오 지음, 신병근 그림 / 풀빛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구글창업자 래리 페이지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전설적인 투자가 워런 버핏.

세계에서 가장 부자로 꼽히는 사람들이야. 이 사람들의 공통점이 뭔 줄 아니? (-4-)

"뛰어난 독서가이지만 독서에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한다. 학교 공부에 의욕이 없고 목표를 세우는 걸 어려워한다. 때로는 규칙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다."

스티브 잡스의 초등학교 성적표에 적힌 평가야. (-6-)

데스틴은 어느 날 용접공인 친구로부터 특별한 자전거를 선물 받았어. 보통 자전거와는 반대로 핸들을 왼쪽으로 돌리면 바퀴가 오른쪽으로 돌아가고, 핸들을 오른쪽으로 꺾으면 바퀴가 왼쪽으로 회전하는 '거꾸로 자전거'였지. 친구는 자전거를 선물하면서 "넌 아마 못 탈 거야"라며 웃었어. 데스틴이 코웃음을 치면서 페달을 밟자마자 정말 넘어질 듯 휘청거렸지. 거개를 갸우뚱하면서 몇 번이나 시도해 보았지만 도무지 탈 수가 없었어. 2미터도 채 앞으로 가지 못하고 계속해서 땅에 발을 디뎌야 했지. (-28-)

쉽게 말해 청소년기는 뇌를 똑똑하게 바꿀수 있는 좋은 시기야.이때는 무언가를 배우면 뇌 속에서 새로운 시냅스 연결이 생성되지. 악기를 배우거나 저글링을 배울 때도 우리 뇌는 새로운 것에 적응해서 그 구조를 조금씩 바꿔 가는 거야. 그래서 이 때는 학습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잘 잊어먹지도 않아. (-29-)

문해력의 효과는 실제로 엄청나. 문해력은 단순히 잘 읽고 잘 쓰는 걸 넘어서 지능을 높이고 집중력을 키워 줘. 떠 똑똑하고, 더 능력 있는 사람, 뭘 해도 성공하는 사람으로 만들어 주지. 앞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성공한 사람들 중에 거의 대부분이 독서나 글쓰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될 거야. (-34-)

일고 쓰느 기술을 익히면 자연스럽게 가짜 콘텐츠를 판별해 내는 능력도 높아질 거야.대부분의 미디어들도 '글'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지.예를 들어 많은 유튜버들이 '스크립트(대분)'의 중요성을 강조해.디자인 관련 콘텐츠로 3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존 코바'는 자신의 영상에서 이렇게 말했어.

"저는 대본 없이 촬영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어요. 그만큼 저는 '준비된 연기자' 라는 거죠.물론 영상이 대본대로 100퍼센트 만들어지지는 않지만 러프하게라도 대본을 작성해야 콘텐츠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덜어낼 수 있고, 논리적인 흐름도 확실해지죠. 쓸데없는 말도 줄어들면 말실수도 덩달아 줄어들고요." (-43-)

내가 함께 하는 책을 일고, 토론하는 독서클럽에서 회원 한 분이 그런 말을 했다. 요즘 10대 아이들의 문해력이 형편없다고 말이다.그건 10대 청소년들은 독서를 멀리하고, 디지털 리터리시, 스마트폰에 익숙한 세대이기 때문이다. 일고 쓰는 능력, 지문을 이해하는 능력이 형편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래서, 조지오웰의 『1984 』,『동물농장』 을 이해시키는데 매우 힘들다고 하소연이다.

즉 문해력, 리터리시 능력은 소통과 대화의 기본 스킬이다. 문해력이 있는 10대는 분별력이 높고, 가짜와 진짜를 구별해내는 힘이 있다. 여기서 문해력은 독서를 통해 세상 을 이해하는 힘을 키워 나가며, 메타인지 능력을 높여 나갈 수 있다. 즉 현대사회가 강조하는 성공의 기본적인 요소, 관찰 · 발견 · 통제 · 판단의 수준을 올려주면서, 남들보다 앞서나갈 수 있다. 적재적소에 자신이 해야 할일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문해력은 원균이 될 것인가, 이순신이 될것인가를 결정한다. 문해력이 나쁜 10대는 원균에 가까운 실패자가 될 수 있고, 문해력을 높이면, 이순신, 스티브잡스와 같는 위인이 될 가능성을 높여 나간다. 독서를 통해 생각하는 힘을 키워 나갈 수 있으며, 집중력을 높여 나갈 수 있다. 절제가 가능하다. 독서를 통해서,자신의 문해력을 높인다면, 학원에 별도로 다니지않더라도, 학교 수업을 따라갈 수 있으며, 학교에서 상위권의 학업 수준을 스스로 만들어 나간다, 세상에 대한 남다른 사유, 탁월한 관찰력과 판단능력을 키워 나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