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기업은 한 문장을 실천했다 - 혁신을 일으키는 기업 경영 인사이트
정강민 지음 / 넥서스BIZ / 2022년 1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2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2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2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2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2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29.jpg)
"허가를 얻기보다 용서를 구하는 게 낫다."
이 문장은 창업자 캘러닉의 신념이다. 그가 조직을 운영하는 방식을 보면 이 문장이 어떻게 우버에 적용됐는지 알 수 있다. 신념 덕분에 엄청난 일도 이루었지만, 또 한 편으로는 사회적 지탄을 받은 일도 있었다. 이 문장은 우버의 핵심가치 중 하나인 '대담한 실행' 이 된다. (-15-)
룰루레몬은 32세 전문직 여성을 집중 공략했다. 전문직 여성이 경력과 경제력 등에서 안정감이 마련되는 시기를 32세로 잡고 제품개발부터 서비스, 마케팅 전략까지 여기에 초점을 맞췄다. 경제적 여유가 충분한 여성이라면 자신만의 패션과 만족을 위해 100달러 (약 10만원) 가 넘은 요가복을 기꺼이 살 의향이 있을 거라 예상했다. 그 예상은 적중했다. (-79-)
제프 베조스는 1만 년 시계라고 불리는 '롱나우의 시계' clock of the long now 를 2018년 자신의 텍사스주 자택 인근 산에 설치했다. 시계 높이는 152m 에 달한다.시계 침은 100년에 한 번씩 움직이고, 1000년에 한 번씩 시계에서 뻐꾸기가 나온다. 1만 년 동안 멈추지 않고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계다. 1989년 미래학자 데니스 힐리스가 처음 고안했다. (-136-)
타고난 약점은 오히려 삶을 더욱 강하게 해주는 밑천이 되며,모든 운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들어가야 한다는 메시지다. 그는 사람을 다루는 데 탁월했는데, 그 이면에는 다음과 같은 생각이 자리 잡고 있었다.
세상에 사과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일이나 사과하지 않아도 괜찮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그는 기업의 성공 여부를 한마디로 정리했다.
자기 부하가 자기보다 훌륭하다고 생각하는가 아닌가에 따라 장사의 성패가 갈린다. (-222-)
"판단을 미루고, 엉뚱한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다양성을 추구하고, 타인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라." (-289-)
"직원들이 회의실보다 복도에서 더 솔직하게 이야기한다면 리더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다."
직원들은 보통 회의실보다 복도에서 더 솔직하다. 캣멀은 솔직함이 부족한 문화를 방치하면 창의성이 발휘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조직 운영에서 솔직해지기란 결코 쉽지 않다. (-355-)
위대한 기업은 그 기업이 성공하기 전과 성공한 이후의 변화가 명확하게 나타난 경우다.구글의 알파고, 인공지능, 검색엔진, 완전한 자율주행자동차가 대표적인 예이다. 우버의 택시도 마찬가지다.기업이 추구한 철학과 기업 CEO의 신념 하나로 세상이 바뀔 수 있고, 그 변화의 시작은 하나의 문장에서 시작한다. 상식과 통념에 변화가 시작된다.
"사악해지지 말자." "마누라 빼고 다 바꿔라."
위대한 기업 구글과 삼성 이건희가 남긴 한 문장이다. 문장 하나가 기업의 모든 움직임의 구심점이 될 수 있고, 분명한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기업 문화에 내재되는 하나의 원칙이기도 하다. 기업 CEO부터,말단 직원까지 공통적으로 시행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특히 하나의 옳은 메시지는 기업의 성장을 돕고, 스스로 성공할 수 있는 일침이다. 특히 우버는 혁신을 이끈 한 문장 "허가를 얻기보다 용서를 구하는 게 낫다." 로 대담한 실행으로 이어졌으며, 기업이 추구하는 비전과 기술이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줄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이 런 모습은 테슬러,스페이스 X의 CEO 일론머스크 또한 마찬가지였다.그는 현재의 상식과 통념에서 벗어나 대담한 실행을 통해, 기존의 기업이 겪게 되는 사업 확장의 한계와 제한을 극복한다. 창업이나 사업을 시작할 때, 해보지도 않고, 포기하는 경우처럼, 누구에게나 해당될 수 있다. 위대한 기업은 위대한 하나의 문장에서시작되며,그 하나의 문장이 고객을 우선하고,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언행일치를 보여줌으로서, 방지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간다. 우버가 초창기 이해관계게자와 충돌을 빚고, 법적인 문제도 발생했지만, 택시의 기준을 바꿔 나갔으며, 택시 기사의 불친절함을 어느 정도 덜어낼 수 있었다. 위대한 한 문장은 기업을 바꾸고, 고객의 생각을 바꾸고, 성공에 대한 통념을 바꿔 나가면서, 시스템과 문화를 바꿔 나가며, 세상을 바꿔 나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222/pimg_7300591133678530.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