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있는 그대로 카타르 ㅣ 나의 첫 다문화 수업 6
이세형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2년 11월
평점 :







또 카타르는 액화천연가스를 효과적으로 수출하기 위해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같은 한국 기업이 만든 첨단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대거 구입했다.
천연가스와 석유, 특히 천연가스 판매를 통해 카타르는 세계적인 부자 나라가 되었다. 불과 몇 십년전만 해도 진주가 주생산물인 나라가 이제는 에너지 시장, 나아가 세계 경제에서 주목받는 나라가 되었다. (-246-)
도하는 2022년 카타르월드컵 이전에도 다양한 이벤트로 주목받은 도시이다. 2006년 아랍권 최초로 아시안게임이 열렸고 미국과 탈레반 사이에 벌어진 아프가니스탄 전쟁 종료 협상이 진행된 장소이기도 하다. 중동의 대표 미디어인 알자지라 본사, 국제적인 교육 연구 특구인 에듀케이션시티 , 주요 천연가스 수출국들이 결성한 국제기구인 가스수출국 포럼 GECF 본부가 있으며,유명 관광지는 없지만 중요한 국제 이슈가 발생하고 있는 도시이다. (-56-)
한국 건설사 중 현대건설은 카타르 사람들, 특히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다. 카타르를 대표하는 건축물과 사회 인프라를 여러 건 건설했기 때문이다. 현대건설은 1981년 12월 완공된 도하 쉐라톤 호텔로 일찌감치 카타르에서 확실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피라미드를 모티브로 지어진 거대한 삼각형 형태의 건물인 이 건축물은 지금은 도하 도심에서 오래된 건물로 여겨진다. 주변에는 훨씬 더 현대적인 디자인과 큰 규모의 건물이 즐비하다. (-125-)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하마드는 누구일까? 바로 현재 카타르를 이끌고 있는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의 아버지인 하마드 빈 칼리파 알사니 상왕이다. (-145-)
카타르에는 '모든 이야기와 정보는 마즐리스 Majlis 에 있다' 라는 말이 있다. 마즈리스는 아랍어로 '앉은 장소' 라는 의미이다. 쉽게 말해 한 집안의 사랑방 혹은 응접실 나아가 가족회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족과 친지들이 모여서 정치, 경제, 사회같이 딱딱한 이슈부터 가벼운 일상의 이야기까지 모든 분야의 대화를 나누는 공간이 바로 마즐리스이다. 보통 남자와 여자는 다른 마즐릿스에서 따로 대화를 나눈다. (-191-)
카타르의 대표 종합 문화 시설인 카타라는 2010년 10월 카타르 동북부 지역에 처음 오픈했다. 공연장, 전시관, 영화관, 야외 원형 극장, 다양한 카페와 음식점, 해변 등을 갖춘 말 그대로 종합적인 문화공원이다. (-241-)
2022년 월드컵은 카타르에서 열린다. 앞선 월드컵이 여름에 열렸다면, 이번 카타르 월드컵은 사막으로 이루어진 국가, 카타르의 특수성 때문에, 겨울에 열리게 된다. 그동안 축구의 종주국 유럽 축구가 유럽 각국 본국에서 진행되는 도중에 월드컵 경기가 열리기 때문에, 많은 변수가 생겨났다. 특히 중동의 한복판에 열림으로서, 중동의 축구 강국,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카타르 월드컵에서 확보했다. 실제로 , 카타르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33만의 카타르인과 카타르가 가지고 있는 천연자원을 얻기 위한 해외 이민자들이나 무역업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카타르의 역사,문화,정치 ,경제, 도시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으며,진주를 캐내 ,해외 경제 선진국에 수출하는 나라에서, 천연가스와 석유를 해외에 팔아서, 강소국으로 거듭난 산유국가 카타르를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실제 1인당 GDP 가 8만 달러 이상이며, 사막국가로서, 천연자원을 수출하여, 생필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였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단교로 인해 카타르의 생필품 무제가 현살이 된 적 있었다. 우리에겐 카타르보다 카타르의 수도 도하에 대한 기억이 많았다.1994년 월드컵 당시 예선에서 도하의 기적을 상기시켰으며,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이 열린 곳이다. 지리적 특징으로 한국의 기술 인프라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 댓가로 카타르의 천연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에너지와 인적 자원을 서로 맞교환하는 경제 정책을 카타르가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아이비리그의 캠퍼스가 중동 카타르에 모여 있다. 즉 카타르는 자신의 강점을 너무 잘 알고 있으며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해서, 법과 제도를 카타르에 사는 이들에게 맞춰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