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의 쓸모 - 밤의 주인, 수면이 궁금하다면 ㅣ 인싸이드 과학 3
뮈리엘 플로랭 지음, 쥘리 레가레 그림, 김수진 옮김 / 풀빛 / 2022년 11월
평점 :



그리스 신화에서 수면의 신 힙노스는 죽음의 신 타나토스와 쌍둥이 형제다. 그러니 수면의 신과 죽음의 신이 신기할 정도로 닮은 것도 무리가 아니다. 그 둘에 의해 일상에서 분리된 이들은 한동안 이 세상에서 제거되어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게다가 죽음은 영원한 잠에 비유되지 않던가? 잠잘때 누운 자세로 전혀 혹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면에서 그러하다. 자는 동안 우리의 의식은 변하고 환경에 대한 인식 역시 달라진다. 그러니 부디 방해하지 말기 바란다. (-15-)
수면은 에너지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원할하게 운용하는 역할도 하는 듯하다. 이는 비교적 최근에 나온 이론이다. 수면 상태에서 절약한 에너지는 동시에 다른 생물학적 이익을 위해 사용된다. 그래서 자는 동안에는 여러 생명 활동 과정이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67-)
프랑스 출신 여성 오티시에르는 단독 요트 경 대회에 수차례 출전경력이 있는 베테랑 항해사다. 1991년에 여성 최초로 세계 일주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125-)
프랑스의 역사학자 조르주 뒤비는 "꿈은 발자국 못지 않게 실질적인 흔적을 남긴다."고 했다. 그는 역사적 사실 뿐만 아니라 옛사람들의 정신에도 관심이 많았다. 잠자는 사람이 뇌 안에서는 꿈이 만들어지고, 그 결과로 뇌 활동은 흔적을 남긴다. 그러므로 우리가 기억하든 못하건, 꿈은 확실히 발자취를 나기며, 깨어 있는 우리 현재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 틀림없다. (-194-)
누군가가 선택한 이런 행복한 철야의 시간은 다른 누군가에게는 감내해야 하는 불행의 철야의 시간이다. 2000년대 초부터 신교 야간 근로직이 생기면서 치안, 보건,운송, 외식 산업 분야의 기존 근로자 집단이 커지고 있다. (-215-)
우리의 역사의 대부분은 컴컴한 밤으로 되어 있었다. 전기가 발명되기 전까지 밤에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햇다. 오로지 달과 별에 의지해야 하는 컴컴한 밤의 삶이 지속되었으며, 밤엔 의례히 잠드는 것이 일상이었다. 하지만 전기는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 주면서, 우리 삶의 패턴을 전면 재수정하게 된다. 특히 시간 개념, 시계의 개념이 확고해졌으며, 밤에도 일을 하거나,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조건이 생겨났다.야근이라는 단어가 새겨난 이유다. 2교대 근무, 3교대 근무도 만들어지게 된다.
즉 잠을 자는 수면 시간이 줄어들면서, 인간은 자연스럽게 자는 시간이 아깝게 느껴졌다. 잠을 더 줄이는 방법을 고민하던 와중에, 인간만 잠을 자는 존재인가, 잠을 안 자게 되면 ,인강의 생체리듬은 어떻게 바뀌는가 알고 싶다. 인간의 뇌가 수면 매커니즘에 관여하는지도 궁금하다. 수면의 신과 죽음의 신이 쌍둥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잠드는 모습이 죽음의 모습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 줄리엣의 잠든 모습을 보면 이해가 된다. 그래서 인간을 대상으로 가장 쉽고 단순한 고문이 잠을 안 재우는 고문이다. 밤에도 불을 켜 놓고, 잠이 들지 않도록록 상황과 환경을 맞춰 놓는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인간 뿐만 아니라, 여러 포유류들도 잠을 자며, 뇌가 없는 해파리도 잠이 든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책에는 잠에 대해 얽힌 이야기가 소개되고 있었다. 특히 남들이 하지 않는 도전을 즐기는 사람이 있다. 잠 안자고 영화를 계속 보는 영화 오래 보기 대회, 파도를 뚫고 혼자서 항해를 하는 경기 등 수많은 경기들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과학자들은 그들의 수면 습관이 궁금하였으며, 잠을 안자게 되면, 어떤 현상이 실제 일어나는지 알고자한다. 실제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기억력이 떨어지며, 면역 기능도 현저히 낮아진다. 특히 나이가 들어서 회복 기능이 붕안정해지는 이유는 불규칙적인 슈면 습관에 있다. 현대인들이 안고 있는 수면무호홉증, 불면증이 건강을 해치는 이유가 되고, 부모들은 첫 아기에게 적절한 수면 습관이 궁금하며, 나이에 맞는 수면습관을 만들고 싶어한다. 책을 통해서, 잠의 무용에서 , 잠의 쓸모로 바꿔 가기 위해서, 생각의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고, 수면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