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는 중입니다, 이 결혼에서 - 사랑과 결혼 그리고 삶이 던지는 문제의 해답을 찾아가는 기록
박진서 지음 / 앵글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식으로 얽매이지 않은 관계,

남녀 간에 느낄 수 있는 사랑의 감정이 희미해진 관계,

물질적인 필요를 충족해주지 못하는 관계....

그런 관계에서도 결혼이라는 책무를

끝까지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성깔 더러운 여자, 제 잘난 맛에 사는 여자,

남편으로부터 비롯된 삶을 지긋지긋해하는 여자.

이런 여자가 왜 여태껏 남편을 떠나지 않고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것일까? (-6-)

"극빈하고 배운 게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몰라. 배부른 자들만 자유를 안다."

별 시답지 않은 말이라고 생각했다. 처음엔 가볍게 콧방귀를 뀌며 비웃어주었다. 부와 권력을 가진 자들의 궤변을 한 두번 들은 것도 아니었으므로, 하지만 가벼이 웃어넘기려던 입꼬리가 끝내 바르르 떨렸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정곡을 찔린 듯 갑자기 호홉이 '흡' 하고 멈춰진 이유는 또 무엇이었을까?

그 사람의 말은 맞는다.

가난하면 자유를 모른다. 그런 걸 느낄 겨를이 없다.

그 사람의 말은 틀리다.

가난하다고 자유의 필요성까지 모르는 건 아니다. 오히려 더 깊이 갈망한다.

나는 늘 자유로워지고 싶었다.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몸의 자유, 생각의 자유를 원했다. (-58-)

남편이 간단한 요리 하나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짧게는 두 시간, 길게는 세 시간이 넘어갈 때도 있었다. 그야말로 혼신의 힘을 다 쏟아부어야 했다. 그런 걸 잘 알기 때문에 나는 웬만하면 불만 없이 감사하게 먹었다.

내가 블로그에 올릴 소설을 쓰는 작업에 뒤늦은 열정을 불태우고 있을 때는 남편의 도움을 톡톡히 받기도 했다. (-113-)

"우리가 세계 평화를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마더 테레사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집에 돌아가 가족을 사랑해주세요."

나도 자주 이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먼 곳의 불쌍한 사람을 안쓰러워하기보단 내 주변의 사람을 챙기는 게 우선 아닐까. 내 가장 가까운 사람을 지키고 돌볼 수 있어야 먼 곳의 다른 이도 도울 수 있는 것 아닐까.(-178-)

편안하고 행복한 삶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주요한 것은 그 무엇에든 섣부른 탐욕을 부리지 않으려는 마음이 아닐까요. 천천히 가려는 호홉 조절이고, 스스로의 의식을 잘 통제해서 보다 현명한 선택을 해나가려는 순간순간의 발자취이겠지요. 제 몸과 마음을 그저 인생의 흐름에 맞춰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하고 싶습니다. 제 하루하루를 애쓰지 않으면서 꾸준한 삶, 무리하지 않으면서 조금씩 나아가는 삶이길 바랍니다. (-218-)

이혼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남자와 이혼을 선택할 수 있는 이유가 결혼을 유지할 이유보다 더 많은 여자, 둘은 서로 만났고, 일사천리에 결혼하게 된다. 그리고 운명적인 불행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여자의 입장에선, 남편의 불운과 ,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운명이 탐탁지 못할 수 있었다. 결혼 후 부자가 되거나 출세까진 아니더라고, 남편을 사랑하고, 아이와 함께 오손도손 살아가는 평범한 가정을 원했을 것이다. 미혼일 땐, 키크고 예쁘고, 공부잘했던 여자는 결혼 후, 바뀌고 말았다. 인싸에서, 아싸가 된 것이었다.

결혼 후 알게 된다. 남편은 점점 더 시력을 잃어가고 있었다. 수학강사였던 남편은 성실한 가정이었지만, 시력을 점점 더 잃어가는 망막이상으로 인해서, 삶과 경제적 여유가 동시에 추락하고 말았다. 수학강사로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지게 된다. 빚으로 채워진 삶, 빈곤으로 살아가는 두 사람에게, 아이는 없었다. 즉 남편의 정자 이상으로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운명은 그렇게 가혹하게 다가온다. 자신의 삶의 굴레가 서서히 추락하는 기분이 들 수 있다. 아내는 남편을 사랑할 이유가 없었고, 떠날 수 있는 조건과 상황도 충분했다. 하지만 여자는 떠나지 않는다. 그리고 부부는 살아남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었다. 이 책은 여러가지 생각할 거리가 많았다. 위로와 치유를 느낄 수 있으며, 막막한 상황, 최악의 순간, 힘든 상황에서 ,견디고, 버틸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과거보다 풍족하지만,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우리의 삶에서 ,노후 문제, 자녀 문제,경제적 문제가 삶의 중요한 원칙이 되고 있다.그런 과정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사랑보다 더 소중한 것이 무엇이며, 결혼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 저자의 삶의 가치관과 신념을 엿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