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하라 - 장기 투자자가 알아야 할 메가트렌드
이봉진 지음 / 경향BP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직장인들은 그날그날의 가격 변수 동향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심지어 금융업종에 몸담고 있어도 내부에서 하는 업무가 다르면 모르기는 매한가지이다. 장기 투자의 장점은 이렇게 매일 발표되는 기표나 시장 상황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기 투자의 장접은 주식 투자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17-)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이 벌어지는 환경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물리적 환경 또는 자연환경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넓게는 지구, 그리고 지구 밖의 우주라는 공간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공간을 말한다.

둘째는 사회환경이다.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노령화되면서 나타날 변화들이나, 도시로 인구가 몰리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날 변화들이나, 도시로 인구가 몰리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날 변화들과 같이 사람이 다른 사람과 부대끼는 관계에서 형성되는 환경이다.

셋째는 경제환경이다.사회환경처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비슷하나, 물건이나 서비스를 주고받고, 그에 대한 대가로 금전이 오고가는 환경과 같이 경제적 의미를 담고 있는 투자 환경을 말한다. (-39-)

최근까지 많이 사용되었던 우주 발사체는 유럽의 아리안 5Ariane5, 미국의 애틀러스 V 등이다. 2017년 기준으로 이들 발사체는 1kg 의 화물을 우주에 보낼 때 들어가는 비용이 약 8,500 ~9,500 달러(약 1,000~1,100만원)였다. 하지만 스페이스X 의 팰컨9나 러시아의 프로톤 M Proton M 과 같은 발사체는 1kg 의 화물을 우주로 보내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3,000 달러(약 3600 만원) 가 채 되지 않는다. (-70-)

원웹은 그동안 러시아의 소유즈 로켓을 이용해 위성을 발사해 왔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영국 정부가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면서 소유즈 로켓을 이용하기 어렵게 되었다. 할 수 없이 스페이스 X 의 위성을 사용하기로 했으며, 대주주가 인도의 바르티이다 보니 인도가 개발한 발사체 GSLV Mk III 도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104-)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원자력 사고가 일어났다. 1986년 구소령에 있던 체르노빌과 동일한 수준의 원자력발전 사고였다. 일본 도호쿠 지바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고, 15m 에 달하는 쓰나미가 원자력 발전소를 덮쳤다. 지진을 감지한 원자로는 자동적으로 셧다운 되었고,이를 대체할 비상발전 체계가 작동되었다. (-158-)

태양광과 풍력발전은 중국, 유럽,미국 등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해 왔고,앞으로도 서장할 수 있는 기반을 잘 갖추고 있다. 그러한 성장의 기반에는 잘 갖춰진 서플라이 체인이 있다. 태양광의 경우 중국이 원소재 부분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지만 글로벌 소싱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것이다. 풍력발전도 2010젽대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3대 풍력터빈 업체 중심으로 재편이 이루어져 왔다. (-192-)

IBM 은 중대현컴퓨터로 대기업, 정부기관에 팔아서, 컴퓨터 산업을 일으키게 된다. 이후, 애플의 스티브잡스는 개인용컴퓨터를 만들어서, 대중화에 앞장서게 되었다.애플의 스티브잡스와 MS 의 빌게이츠,이 두 쌍두 마차가 없었다면,지금 우리 앞에 놓여진 기술 주도의 풍요로운 삶은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경쟁을 당연하게 생각하며, 시장 중심주의 사회로 인해 인간을 파리처럼 생각하는 경향은 있지만, 우리 삶이 과거에 비해 풍족한 것은 현실이다.

우주 산업도 마찬가지다. 테슬러의 CEO 일론머스크 이전에 우주로 향하는 것은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미소 냉전시대,핵개발 경쟁으로 만들어진 초창기 우주산업은 냉전 체제가 붕괴됨으로서, 이후 우주산업 가치가 빛을 바래지고 말았다. 하지만 우주 사업은 다시 일론머스크와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에 의해서, 우주산업의 대중화를 꿈꾸고 있으며,우주발사체의 단가를 최소화함으로서, 가까운 미래에 우주 여행을 누구나 떠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러시아, 유럽, 미국에 의존하면서, 국제정세가 바뀔 때마다, 경제 리스크가 생겨났다. 그 대안으로 나타난 것이 스페이스 X 의 일론머스크다. 우주산업은 여행측면 뿐만 아니라, 우리의 먹거리와 환경 문제를 해결해줄 대안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인류의 자원뭬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만들어지고 있다.

인류가 처한 현실은 위태위태하다. 방만한 쓰레기 배출과 환경오염,온실효과로 인해 지구는 그 어느 때보다 한경 위기,기후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여기에는 전 국가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함으로서, 누군가 히틀러와 같은 악인이 화약고를 건드린다면, 인류의 절멸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지경에 이르고 있었다. 즉 우주산업은 원자력에 의존하였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소행성에 우주선을 쏘아올림으로서,지구 인류가 풍족하게 쓸 수 있는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지구의 환경,기후는 회복될 수 있으며,앞으로 ESG 산업으로 새로운 기회와 인프라를 만들어 나가게 된다. 추후 미래의 산업을 이끌어 갈 우주산업과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비전 뿐만 아니라 희망의 무대가 될 수 있으며,우주의 심연으로 떠날 수 있는 상황과 조건이 만들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