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미학과 한국 현대미학의 탄생 - 캉유웨이, 야나기, 고유섭 인물세계철학 1
정세근 지음 / 파라아카데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유섭은 이른바 개성 3걸을 낳은 스승이다. 미술사학자인 황수영, 진홍섭, 최순우를 낳았으니 그의 문화벅 자극은 대단했다. 황수영과 진홍섭은 경제학을 전공했고, 최순우는 문학도였으나, 1933년 고유섭과의 만남을 통해 한국미술사학이라는 토대를 마련했다. (-26-)

캉유웨이는 문자가 변한다는 데 초점을 둔다. 그런데 변화는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되기 때문에 과거의 모양이 현재의 모양에 남는다. 현재의 모양이 미래의 모양으로 바뀔 때도 마찬가지다. 단적으로 소전에는 대전의 형태가 있고, 예서에는 소전의 형태가 있다.하다못해 후한 말의 예서는 미래에 올 해서의 형태가 있다. (-51-)

우리는 캉유웨이를 보면서 미학도 하나의 운동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느낀다. 개혁은 머리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손으로도 한다. 심미안을 개척함으로써 세로운 세상을 열 수 있다. 이것이 캉유웨이가 알게 모르게 지탱하던 사고였다. (-91-)

조서의 소반은 순박한 아름다움에 단정한 모습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우리들의 일상생활에 친숙하게 봉사하며 세월이 흐를수록 아취를 더해가니 올바른 공예의 표본이라 부를 수 있다. (-106-)

스물다섯의 야나기는 1915년 750 여 쪽에 이르는 『윌리엄 블레이크, 그의 생애와 작품 및 사상』이라는 단행본을 출간한다. 그리고 그의 작품을 모아 1919년에는 그의 복제판화 전람회를 연다. (-134-)

『국어대사전』으로 유명한 이희승(1896~1989) 은 고유섭보다 열 살 가량 나이가 많은 대도 그와는 대학동기였다. 고유섭의 사진에 조선어 전공의 이희승과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이희승은 미에 대한 학술적인 구명究明 을 도락이나 취미와 구별한다. 미를 좋아할 수는 있지만 미를 본격적으로 해염하려는 사람은 감상만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151-)

파라아카데미 인물철학1 권 『동양 미학과 한국 현대미학의 탄생』 에서, 한국의 미술사학가 우현 고유섭(1905~1944), 청나라 말엽 서구의 침략에 대처하자는 변법 자강 개혁론을 주장한 캉유웨이(1858~1927), 조선을 사랑하였으며, 1924년 조선미술관 설립을 시도한 한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 의 업적을 기술하고 있었다. 이들은 우리 미술 근현대사를 이해하은 중요한 인물로서, 조선, 일본, 청나라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살았다. 자신의 예술을 사회적 개혁으로 이끌어낸 역사적인 햑심 인물이기도 하다. 동양 미학과 한국 현대 미학의 융합, 단순히 미술을 감상하고, 만족하는 것을 넘어서서, 미학을 사회적 변화와 변혁으로 이끌어내는 중요한 구심점을 이루어낸다. 현시대의 문제점을 미술과 문학, 역사로 푸어나간다. 특히 우현 고유섭 선생은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서서』 를 쓰신 미술사학자 최순우 선생을 발굴하였으며, 후대에 미술 사학에 있어서 인재 양성에 힘쓰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의 미학과 동양의 미학을 동떨어져 보는 것을 넘어서서, 동양 미학 속에 한국 현대미학의 근원적인 성찰을 꾀하고 있었다. 무에서 유를 만들어낸 한국 햔대 미술,미학이 아닌 역사의 큰 물줄기에서 ,미학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힘,개혁은 행동으로도 가능하지만, 손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것이 우리 삶의 문화였고, 가치였으며, 한국인의 자긍심으로 영혼을 우리고 있음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