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도 비전공자도 IT 업계에서 억대 연봉 만들기 - '아이티리치(IT Rich)'가 알려주는 부자 되는 방법론!
김민형 지음 / 라온북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취업도 빅데이터,AI 직군으로 너도나도 하려고 하는데 연봉부터 보고 목표를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이쪽 분야는 코딩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엔지니어'와 데이터들을 보고 통계학 수학 지식을 바탕으로 규칙을 찾아내는 연구를 계속하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나뉜다. 아무래도 엔지니어보다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연보이 훨씬 높다. (-58-)

SAP ERP 나 오라클 같은 경우는 교육비가 수백만 원에 달하는 것들도 많다. 이걸 본인의 사비로 배우려면 굉장한 부담이다. 그러므로 회사에서 교육비를 지원해준다고 할 때 놓치지 말아야 한다. 사비를 쓸 이유가 전혀 없다. 이런 큰 비용의 지출은 회사가 사업계획을 세우는 시즌에 미리 신청해야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미리미리 알아두고 회사 예산에 반영되게 하는 것도 팁이다. (-145-)

"코딩은 직업으로 삼기에는 엄청 힘든, 고난의 길입니다. 구글 분석하는 툴이나 데이터 분석 통계학 쪽 지식이 돈도 되고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컴퓨터 앞에서 코딩을 하는 게 너무 재미있고 며칠 밤을 새워도 끄떡없고 보람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추천하지만,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 직업으로 삼기보다는 차라리 교육 쪽으로 보람도 있고 더 즐거울 수 있습니다."(-191-)

예를 들면 'ASPN'같은 곳이 대표적입니다. 외주 업체 쪽에 들어가면 아밥 개발자 교육을 처음 2~3개월 정도 시켜주고 그 안에서 파트를 배정받고 업무에 투입되곤 합니다. 그런 데서 경력을 쌓아서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 전산실로 이직하는 사례들도 꽤 있습니다. 그런데 야근도 많고 워라밸은 잘 안 지켜지는 경우가 많아서 대기업 중견기업 공채로 들어갈 수 있으면 그게 제일 좋습니다. (-244-)

연봉 1억 IT 전문가가 되려면, 그 직업군에 취업하면 된다. 나의 역량을 키워서, 회사에 꼭 필요한 IT 인재가 되거나, 어떤 직업군에 자신이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 특히 IT 파트의 경우,코딩 위주의 엔지니어보다는 시니어 개발자가 되면 연봉 1억으로 가는 길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클라우드,블록체인, 메타버스 직업군으로 간다면, 희소 IT 자원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 책에는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머신러닝 엔지니어, 딥러닝 엔지니어, 클라우드 아키텍트, 클라우드 시스템 관리자, 블록체인 엔지니어, 블록체인 웹디자이너, VR/AR 콘텐츠 기획자, VR/AR 콘텐츠 개발자, VR/AR 콘텐츠 디자이너가 있으며,14가지 직업이 연봉 1억을 얻는 대표적인 직업군으로, 그에 맞는 IT 역량과 경험을 요구한다.

연봉 1억을 꿈꾼다면,그에 맞는 자신의 역할이나 부가가치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최소 10억 이상의 IT 프로젝트를 1년 안에 소화할 수 있거나, 10억의 손실을 만회할 수 있는 실력을 요구한다. 그건 밀 경쟁력을 우선하며, IT 역량에서 우선되는 IT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것, SAP ERP 나 오라클 관련 데이터 전문가가 되는 것이 우선이며, 중견 기업 전산실에 취업을 할 수 있다면, 나만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IT 지식과 경험을 소화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