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읽기를 넘어 같이 읽기의 힘 - 공감, 치유, 성장의 가치를 함께하는 독서모임 만들기
신화라 지음 / 보아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보고 나면 여러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가령 <부산향> 을 보고 나서 여러가지가 궁금했다. '다른 인물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곧바로 큰 동작으로 몸이 꺾이며 좀비로 변하는데 주인공은 왜 천천히 진행되지?','영화 마지막에 남은 인물들은 가족을 찾았을까?',' 아파트 고층에 있는 사람들은 밖에 나오지 않으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을텐데, 그렇게 살아남은 사람들은 구조가 될까?','이 영화의 감독은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 등등 (-22-)

첫 번째 모임의 이름은 '독서나무' 로 결정되었다.이 단어는 독서와 책의 열매가 주렁주렁 열리는 나무를 연상하게 한다.처음은 우리가 작은 묘목 같은 나무지만 점점 풍성해지는 큰 나무를 기대하고 큰 나무가 되어 많은 열매도 맺을 거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71-)

운영하는 온라인 경제 독서모임에서는 토니 로빈스의 『머니』 를 읽었다. 책 한 권당 보통 2주의 시간을 배분하고 읽고 목서모임까지 진행한다 머니의 분량은 800 페이지 이상이어서 2주를 더 늘려 4주의 시간을 배분하고 모임을 진행했다. (-90-)

모임초기에는 회원간의 서로 낯설고 적응기간이 필요해 리더가 결정해야 할 일이 많다. 그럴 때 독단보다 부드러운 리더십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흩어지지 않고 잘 모일 수 있게, 모임에 애착을 느낄 수 있게 한 명씩 돕는 것도 리더가 할 일이다. (-140-)

4.작은 그룹을 이끌며 리더십을 배우게 된다.

3,4명의 작은 모임이라도 운영을 하면서 운영 노하우가 생긴다. 작은 모임을운영하면서 노하우와 리더십이 생기게 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좀 더 큰 규모의 모임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5.타인의 성장을 돕는 사람이 된다.

책과 독섭모인을 통해서 나도 성장하고 다른 사람의 성장도 도울 수 있다. 리더도 성장하고 회원도 같이 성장하는 시간이 바로 독서모임이다. (-191-)

독서, 책을 읽게 되면 ,자연스럽게 독서모임에 관심 가지게 된다. 책을 매개체로 하여,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작가를 지역에 모셔서, 책의 의도를 느껴보는 시간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독서와 독서모임은 악어와 아어새관계처럼 느껴진다. 한편 책 『혼자 읽기를 넘어 같이 읽기의 힘』은 실제 독서 모임에서 소속된 이들보다는 , 독서모임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 갑자기 독서모임의 리더가 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책이었다. 저자는 성장과 치유, 공감을 위해 의미를 담은 독서모임 『독서나무 』 의 리더이며, '더성장컴퍼니'의 대표이기도 하다. 어떤 상황에 처해질 때,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한 권의 책을 통해 얻게 되며, 독서모임 리더가 만만치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2018년 처음 알게 된 독서모임에, 2019년부터 만 3년이 되었다. 독서모임을 하게 되면, 어떤 책을 골라랴 할 지 고민하게 된다. 함께 읽을 때,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책 선정에 있어서,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상황과 조건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으며, 어떻게 읽느냐보다는,왜 읽어야 하는지 한 번 더 꼽씹어 볼 수 가 있다. 독서를 통해서,질문하게 되고, 질문을 통해 생각의 힘을 키워나간다. 여기에는 책을 고르는 것 뿐만 아니라.,실제 독서모임 운영계획도 있으며, 때로는 모임의 목적에 맞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독서모임의 성격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해 버렸다. 실제로 독서모임은 서로 얼굴을 보고, 함께 책을 읽고, 서로 안부를 묻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혼자라면 가기 힘든 독서 문화기행을 직접 추진할 수 있으며, 가까운 문학관,박물관, 고인이 된 작가들의 생가로 떠날 수도 있다. 독서모임은 리더의 역할에 따라서,모임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으며,지자체나 문화체육관광부의 공모사업을 통해서, 독서모임을 활성화할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나의 경우 경험에 의한 부분들이 수록되어 있어서, 쉽게 이해가 되었고, 저자의 고민과 걱정꺼리에 공감가는 부분이 많다. 책선정, 독서모임 회원들의 수준이나 니즈와 원츠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감, 치유, 성장의 가치를 독서모임을 통해서 ,적극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