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처 하나, 문장 하나 - 밑줄을 긋고 살아갑니다
정인구 외 지음 / 프로방스 / 2022년 9월
평점 :
14년 전, 그날의 아픔을 이야기하는 '아름답고 불가피한 일'로 받아들이기에는 아직도 역부족이다. 지금도 가슴 한 편이 아리고 목이 멜 때가 있다. 중요한 것은, 죽고 싶을 만큰 고통스러웠던 상처가 많이 아물었다는 사실. 나는 견뎌냈고, 살아냈다. 한 권의 책에서 만난 수중한 문장 하나가 나를 돌아보게 했다. 몽테뉴의 말처럼, 죽을수 밖에 없는 인간에게. 죽음이란 갑작스러운 일이 아니다. 죽음 역시 삶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며, 이보다 더한 아픔이 또 온다 해도, 나는 다시 버텨내며 극복하고 살아낼 것이다. (-61-)
페이퍼 저자 하형록은 심장병 환자다. 심장이식을 받지 못하면 한 달 이내에 주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심장을 양보했다. 작가보다 시급하다는 이유에서이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90-)
오늘이 나의 마지막 날이라고 생각하고 용기를 내세요. 그리고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사랑한다" 라고 말해주세요. 상처로 남지 않을 죽음을 위해서 마음껏 사랑하고, 삶에 대한 그리고 사람에 대한 감사함으로 죽음이 아닌 이별을 준비하길 바랍니다. (-97-)
"앞으로는 나의 마음을 관통하는 찰나의 순간들을 놓치지 않아야 겠다. 사랑이든, 불편이든, 치묵이든 적아야 남는 거니까. 오늘은 놓치기 싫은 사람을 노트에 적었다. 시간이 아무리 많이 흘러도 이 사람은 마음으로 기억될 것이다." (-107-)
엄마를 생각하면 내 가슴엔 말할 수 없는 뭉클한 감동이 인다. 흔한 것, 쉽게 드러낼 수 있는 것은 감정이지, 감동은 아니다. 감동은 그 생명이 감정보다 길다. 감동은 한 사람의 인새을 바꾸기도 하니 말이다. 엄마는 내 인생 켜켜이 감정이 아닌 감동을 남겨두고 가셨다. (-136-)
"품은 비전이 식어갈 때, 독서로 열저을 되살리는 해법을 찾아주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172-)
무슨 일 하든 다음에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이번에 해야 한다고 생각하라. 이번이야말로 마지막 기회다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입니다. (-186-)
정호승 의 『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가 있다.그 책에서 우리는 스스로 위로하고, 치유받고, 아픔을 기쁨으로 승화시키는 법을 알게 된다. 그리고 우리의 삶을 견디기 위한 용기는 반드시 필요하다. 삶의 위로를 얻는 그 순간, 나에게 내가 주는 용기라는 소중한 가치를 자연스럽게 얻게 된다. 삶에 있어서, 깊은 의미를 느끼고, 그 안에서, 중요한 메시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책에서 얻을 수 있고, 사람에게서 얻을 수 있으며, 관계에서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열 명의 작가에 의해, 용기와 위로, 치유와 행복을 느끼게 된다.
삶, 그리고 죽음, 그것은 매우 소중한 가치이며, 감동이자 기적을 만들어 낸다. 누군가의 죽음이 우리 삶에 강렬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지하철에서 세상을 떠난 이수현 군. 죽음 뿐만 아니라, 올바른 삶을 배우게 된다. 그래서, 스스로 내 삶을 오롯히 정립해 나가는 것 뿐만 아니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알아내고 이해하고, 경험과 실천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즉 책 한 권에서, 우리 삶의 따스함과 타인을 이해하는 공감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들키고 싶지 않은 것, 들켜서는 안되는 것, 그리고, 삶의 시간의 편린에서 얻게 되는 그 무언가가 상대방을 깊이 감화시킬 수 있으며, 타인의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어루만질 수 있다.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살아간다면, 내 삶을 바로 세울 수 있으며,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으며,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가치 뿐만 아니라 의미를 스스로 만들 수 있다.